미래성장동력 기획위원회가 10일 국민소득 4만달러 시대를 열고 창조경제 생태계를 실현할 13대 미래성장동력산업을 발표했다. 5세대(G) 이동통신, 해양플랜트, 스마트카, 인텔리전트 로봇,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실감형 콘텐츠, 맞춤형 웰니스케어, 재난안전관리 스마트 시스템,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지능형반도체, 미래 융복합 소재, 지능형 사물인터넷, 빅테이터 등이다.
13대 산업은 전국경제인연합회를 비롯한 5대 경제단체와 벤처기업협회·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등 주요 경제단체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한국전자통신연구원·산업연구원 등 전문연구기관 전문가 130여명이 참여해 선정했다. 모두 미래 유망 신수종 산업이다. 기업들도 새로운 먹거리 산업으로 꼽는 분야다. 시장 잠재력이 크고 우리나라가 세계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분야이기 때문이다.
이제 선정한 산업분야마다 구체적인 실천계획을 만들어 상용화하면 된다. 산업계와 연구계가 머리를 맞댄 결과물인 만큼 어느 때보다 실현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크다. 정부는 민간기업과 연구계가 한 마음으로 협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면 된다. 과거보다는 많이 좋아졌지만 제도적으로라도 산·학·연이 좀 더 실질적인 협력을 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사업결과가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긴밀한 협업이 필요하다. 산업계와 학교 간 산업·연구인력 수요 미스매치 현상까지 해결해 주면 금상첨화다. 이와 함께 법·제도도 산업과 서비스 발전을 예측해 한 발 앞서 고민해서 산업의 발목을 잡는 일이 없게 해야 한다.
더욱 중요한 것은 기술개발뿐만 아니라 수요를 연계한 상용화다. 기술개발에 앞서도 고객과 시장을 잡지 못하면 그만이다. 미래 도양과 사회 현안 문제를 예측하고 사전에 준비해야 창조경제 시대가 요구하는 일자리 창출과 복지증진도 가능하다. 산업계와 연구계 역시 결과를 위한 기술개발보다는 시장과 미래를 내다봐야 한다. 연구실적 쌓기가 목적이 돼서는 미래가 없다.
미래를 내다보는 정부의 인프라 조성과 민간 기술경쟁력이 제대로 맞아떨어졌을 때 창조경제도 실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