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단상]지속성장을 위한 새 화두

김성우 삼정회계법인 전무
김성우 삼정회계법인 전무

지속가능한 성장을 고민하는 기업이 올 한해 주목해야 할 키워드는 무엇일까.

우선, 기후투자는 글로벌 기업의 신성장동력 분야로 주목 받고 있다. 기후투자 분야는 인프라 투자 사업이다. 기존 공적개발원조(ODA)나 다자간개발은행과 연계해서 많은 해외사업 기회가 창출되고 있다. 이미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 에너지효율 개선, 수자원 관리, 도시개발 등 기후변화 관련 분야에 대해 약 7000억 달러 규모의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

민간 투자를 유인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도 함께 논의되고 있다. 지난해 12월 송도에서 열린 녹색기후기금(GCF) 개소식에서 GCF 사무총장과 세계은행 부총재가 강조했던 부분도 바로 민간투자에 대한 지원방안이다. 케냐의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위해 덴마크 정부가 기업지원기금을 설립했고, 인도가 도시계획 단계에서부터 기업 참여를 촉진해 기후변화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민관협력(Private-Public Partnership) 모델을 개발한 것은 최근의 국제적인 흐름을 보여주는 좋은 예다.

두 번째 이슈는 탄소규제다. 유럽과 미국 캘리포니아주, 중국에서 배출권거래제가 시행되고 있고 오는 9월로 예정된 UN기후정상회의에서 우리나라를 포함한 각 국 정상이 국제 탄소규제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국내에서도 2015년부터 배출권거래제가 시행된다. 최근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이 확정〃공표됐고 한국거래소가 배출권거래소 운영기관으로 선정되는 등 제도시행을 위한 준비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배출권거래제가 시행되면 2015년부터 2017년까지 기업별 배출허용량이 결정되기 때문에 탄소규제로 인한 재무적 영향이나 투자 리스크 등을 꼼꼼히 따져볼 필요가 있다. 배출권거래제를 시행하고 있는 유럽 대부분의 기업에서 최고재무책임자(CFO)가 직접 탄소규제 영향을 관리하고 있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특히 온실가스 배출 규모가 큰 대규모 장치 산업에서는 기본적으로 20~30년 동안 시설을 운영하기 때문에 신규 투자를 결정할 때 탄소규제 영향을 심각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 이슈는 사회적 책임이다. 최근 갑을논쟁이나 개인정보보호 등의 이슈에서 볼 수 있듯 사회적 책임은 기업 생존의 핵심 전략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동안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보여주기식 이벤트나 사회 공헌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면 글로벌 차원에서는 공유가치창출(CSV:Creating Shared Value) 개념으로 진화하고 있다. 공유가치창출은 마이클 포터 하버드대 교수가 제창한 개념으로 기업의 핵심 역량을 활용해 사회 기여와 이윤 창출을 동시에 추구하는 전략을 말한다. 코웨이가 말레이시아에 진출하기 위해 생계가 곤란한 중〃하층 여성을 코디네이터로 채용해 여성 실업 문제 해소와 지역사회 고용 활성화에 기여하는 동시에 자신의 매출도 확대한 사례는 CSV의 좋은 사례다. 우리 기업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사회적 책임을 단순히 비용이나 리스크의 문제로만 여길 것이 아니라, 오히려 신사업 기회로 활용하는 역발상이 필요하다.

대다수 우리 기업은 기후투자나 탄소규제, 사회적 책임 등이 시급하지 않다는 이유로 우선순위를 낮게 매겨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이들 이슈는 기업의 경쟁 환경을 바꾸고, 경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사안이 되고 있다. 미래 사회를 바꾸는 메가트렌드를 읽어내고 이에 부응하지 못하는 기업은 지속성장을 기대하기 어렵다.

이들 이슈가 기업을 둘러싼 고객, 협력사, 투자자, 지역사회 등 이해관계자들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어떤 영향으로 돌아올 지 점검해보는 것부터가 지속가능한 성장을 준비하는 자세다.

김성우 삼정회계법인 전무이사 sungwookim@kr.kpm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