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혁신 3개년 계획]창조경제 비타민 프로젝트 120개로 확대

[경제혁신 3개년 계획]창조경제 비타민 프로젝트 120개로 확대

오는 2016년까지 3년간 120개 창조경제 비타민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전국 17개 광역시·도에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설치된다. 창조경제 비타민 프로젝트와 창조경제혁신센터, 벤처·창업을 역동적 혁신경제로 전환하기 위한 견인차로 삼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기존 산업 고도화와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을 목표로 하는 창조경제 비타민 프로젝트가 단계적으로 확대된다. 정부가 비타민 프로젝트에 사활을 건데는 ICT 인프라는 세계 최고 수준이고 과학기술 경쟁력도 상승 중이나 교육·판매·제조 등 주요 부문에서의 생산적 활용은 미흡하다는 판단으로 풀이된다.

당장 올해 전년보다 5배 늘어난 1000억원 예산을 투입해 30개 창조경제 비타민 프로젝트를 개시한다. 올해 비타민 프로젝트는 △농축수산식품 △소상공업 창업 △문화관광 △주력 전통산업 △보건의료 △교육학습 △재난안전 SOC 7대 분야 중심으로 추진한다.

농림수산식품 분야는 ICT를 활용해 농업재해 사전 예방, 지능형 로봇의 해파리 퇴치로 수자원 보호 등에 역점을 둔다. 문화관광과 교육은 스마트 과학실험실 구축, 창의교육 실현을 위한 미래학교 실험 운영 등에, 산업과 에너지 분야는 한국형 해상 디지털통신 기술, 스마트 상수도 에너지 절감 관리시스템 개발 등을 주로 추진한다. 이밖에 보건환경은 U-IT 기반 안전한 혈액 관리, 녹조로부터 안전한 상수도 공급 등에 초점을 맞춘다.

정부는 올해 상반기 안에 국가정보화와 ICT 기술지원 전문기관인 한국정보화진흥원을 전담기관으로 지정해 사업을 위탁 관리하고 분야별 협의회 운영, 사업 모니터링, 전문가 컨설팅, 성과 측정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지역의 경제혁신과 창업의 전진기지가 될 창조경제혁신센터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정부는 상반기 중 대전·대구를 대상으로 운영모델을 정립하고 다른 시·도로 점진적으로 확산할 계획이다. 지역별 창조경제 추진전략과 자원을 반영, 지역별로 특화된 신사업·신시장 창출의 요람으로 발전시킨다는 전략이다.

이는 다양한 창업지원기관이 존재하고 있으나 프로그램 간 연계 부족으로 정책 효과가 분산되고, 서울에 비해 지역의 창업 환경도 열악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실제로 테크노파크·디자인센터(산업부), 미래글로벌창업지원센터(미래부), 콘텐츠코리아랩(문화부), 지식재산권센터(특허청) 등 부처별로 혁신센터가 산재한 실정이다.

여기에 벤처 업계는 정부 지원 프로그램 정보가 부족하고 창업자나 투자자 등이 서로 교류·협업할 수 있는 협업 공간(co-working place)도 찾아보기 어렵다는 애로사항도 반영했다.

당장 ‘창조경제혁신센터’를 2015년까지 전국 17개 광역시·도에 1개씩 설치·운영해 지역 경제혁신과 창업의 전진기지로 육성한다. 센터는 지역 전략산업 발굴·육성과 중견·중소기업 성장, 해외진출 지원 등을 통해 지역경제 혁신을 견인할 것으로 보인다.

지역기업 수요를 토대로 산업인프라 구축, 기술개발, 인력양성 등의 프로그램도 통합 연계한다. 지역 아이디어가 ‘창업→중견·중소기업→글로벌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역현장에서 밀착 지원 및 해외 활동을 지원한다. 또 글로벌기업의 시장 노하우·네트워크·플랫폼 등을 활용해 ‘창업교육→기술개발→사업모델 개발→컨설팅·자금지원’ 등 전 과정을 원스톱으로 지원한다.

정부는 2014년 상반기 중 2개 지역(대전·대구)을 대상으로 운영 모델을 정립해 우선 개소·운영하고, 이를 토대로 단계적으로 타 시·도로 확산한다는 계획이다. 지역 인재의 창업과 중견·중소기업의 글로벌 진출 지원 등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도 도모하기로 했다.

김원배기자 adolf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