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기기를 인터넷으로 연결하는 이른바 사물인터넷(IoT) 시대가 임박했다. 덩달아 사물에 붙여 데이터를 전달하는 센서의 중요성도 커졌다. 센서는 빛, 온도, 속도 등 각종 데이터를 감지해 전기 신호로 바꾸는 소자 또는 장치를 뜻한다. 요즘엔 단순 데이터 전달뿐만 아니라 가공까지 가능한 스마트 센서로 발전했다. 우리나라 센서 산업 경쟁력은 낮은 편이다. 대부분 중소기업이어서 기술 개발에 한계가 있다. 단순 센서 외에 고기능 센서를 거의 수입에 의존하는 이유다.
산업통상자원부가 4일 센서 산업 육성을 선언했다. 6년간 민관 공동으로 총 1508억원을 투입한다. 기반 기술 개발부터 상용화, 인력 양성까지 망라했다. 센서가 정보통신기술(ICT) 산업뿐만 아니라 자동차, 바이오·의료, 기계·로봇까지 거의 모든 산업 경쟁력을 높일 핵심 품목이라는 점에서 시의적절하다. 그런데 애초 계획보다 축소됐으며, 핵심인 시장 창출 계획도 구체적이지 않아 더 보완해야 한다.
산업부는 지식경제부 시절인 2012년 말에 2019년까지 3338억원을 투입하는 센서산업 육성 전략을 발표했다. 세계 수준의 중견기업 20개 육성, 매출 100억달러 달성과 일자리 2만5000개 창출, 세계 센서 4대 강국 진입이라는 목표도 내걸었다. 당시 자금 투입 계획보다 지금 절반 이상이 준 셈이다. 고기능 스마트 센서에 더 집중하면 투입 자금이 적어질 수 있다. 하지만 계획 축소 자체로 산업 육성 의지가 의심을 받을 수 있다.
산업부는 웨어러블 스마트기기, 국민 안전·건강 로봇, 자율주행 자동차 등 추진 중인 13개 ‘산업엔진 프로젝트’와 연계한 스마트센서 제품 개발과 상용화를 추진한다. 이러한 상용화 연계 자체는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너무 미래 기술 개발에 치우쳤다. 미래를 겨냥한 핵심 기술 경쟁력 제고는 물론 좋지만 당장 센서기업이 매출 신장과 시장 형성에 도움이 될 단기간 제품 개발 및 상용화 과제가 더 있어야 한다. 그래야 중소기업도 이를 발판으로 확보한 자금력과 인력으로 미래 기술 개발 역량을 더 쌓을 수 있다. 산업부가 민간 의견을 적극 반영하겠다니 지켜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