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독 최근 들어 지방자치단체와 기업지원기관들의 사업설명회가 잇따랐다. 경기침체 탓인지 설명회장은 빈틈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다. 하지만 사람들의 반응은 썰렁하다. 이해할 수 없다는 분위기다.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역산업정책이 정권이 교체 될 때마다 바뀌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특히 광산업을 주력산업으로 육성하던 광주시와 광주 광산업체들의 경우 혼란이 더 심하다. 불과 몇 년 사이에 여러번 광산업 지원정책이 ‘오락가락’했던 탓이다.
지원 사업 명칭이 주력산업에서 호남권선도산업, 신특화산업 등으로 바뀐 뒤 최근엔 다시 주력산업으로 변경되면서 광산업은 자연스레 관심 밖으로 밀려난 느낌이다.
실제 광주시가 100억여 원을 들여 시범 운영중인 주력사업 명단에 광산업은 빠져있다. 호남권선도산업으로 지원되던 광산업지원프로젝트도 내년이면 종료된다. 그나마 ‘광·전자 융합산업’이 시·도간 산업협력권사업에 선정되면서 체면치레하긴 했지만 예산 28억 가운데 절반 가량은 대전시와 나눠써야 할 판이다.
지난달 광주시가 이 같은 내용을 언론에 공개했지만, 정부 발표전이라며 여간 조심스러워하는 눈치가 아니다. 가뜩이나 어려운 지자체 살림살이기에 중앙정부에 기댈 수 밖에 없는 구조적 취약성 탓이다.
광주 광산업에 대한 정부정책이 바뀌고 예산도 큰폭으로 줄면서 위기감은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특히 자금력과 기술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체감 위기가 더 심각하다. 지난해 영세기업 30여 곳이 문을 닫았다. 본사를 수도권으로 옮기려는 기업도 나타나고 있다. 인접한 전북 익산시에서는 한국LED조명공업협동조합과 익산엘이디 협동화단지 개발을 추진해 지역 간 경쟁도 심화되고 있다.
광 산업은 타산업과의 융합이 용이한 창조경제의 한축이다. 그만큼 성장 가능성도 크다는 얘기다. ‘나무보다 숲을 본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광주 광산업에 대한 일관성 있는 정책과 대책이 필요하다. 지금이 바로 그 때다.
광주=서인주기자 si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