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홈쇼핑에서 판매하는 상품에 중국산 저가 수입 제품의 비중이 너무 높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또 대기업의 재고 상품을 소화해주는 창구로 전락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보는 시각에 따라 서로 다른 판단이 존재할 수 있는 문제이긴 하지만 분명한 것은 이 같은 목소리가 나오는 자체가 창조경제를 표방한 현 정부에는 부담일 수밖에 없다.
1990년대 중반 TV홈쇼핑이 출범한 이래 지금까지 ‘중소기업’이라는 이슈는 거의 모든 정부에서 예외가 아니었다. 중소기업 육성을 위해 전용 홈쇼핑과 중기상품 비중 확대에 대한 논의가 제기됐다. 또 중소기업 홈쇼핑이 대기업 자본에 넘어가는 과정에 대한 비판도 정부를 곤욕스럽게 했다. 그만큼 중소기업 육성과 TV홈쇼핑의 관계는 밀접하기 때문이다.
TV홈쇼핑은 중소기업에는 ‘대박’이라는 인식이 팽배하다. 더욱이 판매 창구이자 동시에 홍보 창구로 활용되는 TV홈쇼핑 프로그램 특성상 새로운 아이디어로 틈새시장을 노리는 요즘 중기·벤처업체로서는 사활을 걸 수밖에 없는 매력적인 채널이다.
최근 중기·벤처 업계가 제기한 중국산 저가 수입 제품 및 대기업 재고 밀어내기 창구 논란은 TV홈쇼핑업계로서는 억울한 측면이 분명 존재한다. TV홈쇼핑업계는 정부의 정책에 맞춰 중소기업계와 MOU 등을 통해 국내외 판로 확대에 나서는 등 다양한 노력을 함께 해왔기 때문이다. 또 그 과정에서 수익성 감소도 감수했고, 스스로도 중기·벤처 지원 사업 발굴에 노력해 왔다.
하지만 입장 차가 존재한다. TV홈쇼핑업계의 많은 배려에도 불구, 중기·벤처업계는 지속적으로 이용의 어려움을 호소한다. 사실 정부가 나서서 다양한 형태로 TV홈쇼핑과 중기를 연계하는 정책을 내놓는 것 자체가 그만큼 중소기업으로서는 문턱이 높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TV홈쇼핑은 정부 허가 사업이다. 허가를 내준 업체에 대한 관리와 지속적인 사업 유지가 가능한 환경 조성의 의무가 존재한다. 새로 허가를 내 줄 때 TV홈쇼핑의 시장성도 고려할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 수요와 공급의 예측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TV홈쇼핑의 수익율과 문턱을 낮춰 달라는 중소기업의 목소리는 판단의 근거가 될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