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전기차, 창조경제 신성장동력 손색 없다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IEVE)가 열리는 서귀포 국제컨벤션센터에는 전기차를 타 보려는 제주도민과 관광객 행렬로 북적인다. 관람객들은 국내외 업체들이 선보인 전기차 성능과 가격을 따져보는 등 관심을 보였다. 가격과 충전인프라만 맞으면 앞으로 폭발적인 구입 붐이 일 것임을 예고했다.

더 주목할 것은 우리나라가 전기차 소비뿐만 아니라 생산 거점으로 성장할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점이다. 자동차 생산으로서 기본 인프라가 충분하다. 핵심 장치인 배터리 산업도 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 우리 업체들이 세계를 주도한다. 전장부품 산업도 세계적인 수준에 올랐다. 행사장을 찾은 르노그룹 한 관계자는 “르노삼성 부산공장을 아시아를 비롯한 세계 시장에 공급할 전기차 생산 거점과 교두보로 삼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외국 자동차업체도 한국이 전기차 생산 강국으로 도약할 가능성을 이렇게 인정한다.

정작 우리나라 전기차 보급은 유럽, 미국에 비해 매우 더디다. 보조금부터 충전 인프라까지 보급 정책이 미진한 탓이다. 국내 자동차 업체는 기존 수요 잠식을 걱정하는지 외국 업체에 비해 전기차 사업에 소극적이다. 자국 내 보급이 이렇게 미흡하면 생산 허브 전략에도 차질이 생긴다. 17일 행사장에서 열린 한국전기자동차리더스협회(KELA) 주최 포럼에서 다양한 민간 보급 활성화 요구가 빗발친 것도 이러한 절박감을 반영한다.

전기차 인프라 구축이 단순히 전기차 산업 활성화에만 도움을 주는 것이 아니다 우리 업체들이 충분한 경쟁력을 확보한 에너지저장장치(ESS151)를 비롯해 스마트그리드, 신재생에너지 산업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 정도라면 전기차 산업은 창조경제를 표방한 박근혜정부의 신성장동력으로 전혀 손색이 없다.

문제는 정책 창구가 부처 별로 흩어져 멀리 보는 전기차 산업 육성 정책이 나오지 않는다는 점이다. 외산 전기차 공세를 감안하면 자칫 세계 주도권 확보 기회를 잃을까 걱정이다. 정책 당국자들은 책상머리에 앉아있지 말고 수요부터 인프라까지 전기차 미래를 시험 중인 제주를 당장 찾을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