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진격의 중국 IT, 미국 경쟁사 넘을까

알리바바, 웨이보 등 중국 대표 IT기업이 아마존, 트위터를 넘볼만큼 거대한 성장 가능성을 열어가고 있다. 올해 하반기 잇따라 미국에서 기업공개(IPO)를 할 예정인 이들은 표면적으로 자국기업의 규정이 까다로운 탓에 미국 증시를 선택했지만 내수 시장을 섭렵한 후 ‘실리콘밸리’로 대표되는 세계 최대 IT 시장을 정조준했다. 이들은 아마존, 트위터 등 정면으로 맞붙는 미국 기업의 경쟁력에 약간의 플러스 요인을 넣어 소비자를 끌어당기고 있다.

[이슈분석]진격의 중국 IT, 미국 경쟁사 넘을까

◇진격의 중국 IT…알리바바 세계 3위 IT기업 등극

알리바바는 지난 17일 미국 뉴욕 증권거래소(NYSE)에 IPO를 신청했다. IPO가 성공적으로 이뤄지면 알리바바 시가총액은 2000억달러(약 216조원)에 달할 것으로 맥쿼리그룹은 평가했다. 페이스북(1716억달러)을 제치고 구글과 아마존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높은 시가총액을 기록한 인터넷 기업이 된다.

알리바바뿐 아니라 바이두, 텐센트 등 중국 인터넷 기업은 거대한 자국 시장에서 거둔 폭발적인 성장을 기반으로 세계시장을 향해 진격하고 있다. 현재 이들 기업은 미국의 대표적 인터넷 기업인 트위터와 페이스북, 아마존 등에도 밀리지 않는다는 평가다.

알리바바그룹은 기업 간 전자상거래(B2B) 사이트 알리바바닷컴을 시작으로 개인 간 온라인장터(오픈마켓) ‘타오바오’와 전자결제서비스 ‘알리페이’ 등을 운영하며 중국 인터넷 시장의 최강자로 성장했다. 알리바바 서비스는 지난해 총 거래 규모 2400억달러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미국 아마존 거래 규모(970억달러)의 두 배가 넘는다.

기가옴 등 외신은 알리바바의 경쟁력에 대해 “아마존, 이베이, 페이팔에 구글의 특징을 조금 더한 뒤 중국식으로 섞었다”고 전했다. 타오바오는 미국 온라인 상거래 사이트 이베이와 비슷한 쇼핑몰이다. 하지만 이베이와 달리 판매자가 물건을 등록하거나 판매할 경우 모두 수수료를 받지 않는다. 대신 자신이 파는 물건을 화면의 상단이나 눈에 잘 띄는 곳에 배치하고 싶을 때만 광고비를 내면 된다. 이런 자유로운 거래 모델을 바탕으로 타오바오는 중국 내 1위 오픈마켓이 됐다.

바이두는 중국에서 검색 시장 1위 기업이다. 구글도 중국에서는 바이두에 밀려 기를 펴지 못한다. 바이두는 지난해 매출 319억위안(약 5조5000억원)을 기록, 5년 만에 10배 넘게 성장했다. 유·무선 메신저와 게임 분야의 강자 텐센트도 지난해 매출 610억위안(약 10조5000억원)으로 5년 만에 9배 커졌다.

◇까다로운 규정 피해 ‘고 웨스트(Go West)’

고도의 성장세를 보였던 알리바바, 웨이보 등 중국 IT기업이 중국 증시에 상장하기 어려운 이유는 중국 정부의 까다로운 규정이 크게 작용했다. 기업이 성장하는 동안 받는 초기 투자자금의 ‘큰 손’은 대부분 중국 외 외국인 투자자다.

하지만 대다수 중국 IT기업이 진출해 있는 서비스 시장은 중국 정부가 ‘외국인투자방향지도전문’ ‘외국투자자의 기업인수에 관한 규정’ 등의 법률을 통해 외국인 경영 금지 분야로 지정한 상황이다. 이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법적으로 외국인이 인터넷 기반 서비스를 하는 것을 제한하고 있고 인터넷 서비스 기업에 투자를 하는 것도 금지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 같은 구조에서 중국 IT기업이 엄격한 규정을 요구하는 중국 증시에 상장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라고 평가했다.

또 대다수 중국 IT기업은 자국 증시 상장기준에 부합하지 않는다. 미국 증시와 달리 중국 증시는 허가제로 운영된다. 등록제인 미국의 경우 IPO를 위해 요구하는 기준이 중국에 비해 덜 까다롭다. 특히 초창기 수익을 내기 쉽지 않은 인터넷 사업의 경우 일부 기업이 중국 증시에서 요구하는 깐깐한 기준에 부합하기 힘든 경우가 많다.

미국 상장의 경우 중국 기업이 감당해야 할 리스크도 있다. 중국 기업 경영진의 도덕적 리스크도 존재한다. 여러가지 조항을 만들어서 경영진이 주주와 계약을 불성실하게 이행할 경우 주주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가 마련돼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회사는 중국에 있고 주주는 외국에 있는 상황에서 중국법 울타리 안에 있는 기업을 주주가 얼마나 컨트롤할 수 있을지는 모른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정미나기자 mina@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