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가 올해 지역산업 육성에 투입하는 6557억원(국비 5572억원, 지방비 985억원) 중 가장 많은 약 39%(2583억원)가 22개 산업 40개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광역경제권선도산업육성사업’에 들어간다.
이 사업은 22개 산업 40개 프로젝트를 지원한다.
지난 2009년부터 올해까지 6년간만 지원되고 내년부터 폐지된다. 대신 내년에는 산업협력지원사업이란 이름으로 지원된다.
‘광역경제권선도산업육성사업’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약 36%(2403억원)가 시도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에 투입된다. 이 사업 역시 내년부터 이름을 바꿔 ‘주력산업’으로 지원된다.
이를 위해 산업부는 31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을 제외한 14개 시도를 대표하는 63개 주력산업을 선정했다. 내년부터 예산이 투입되는 이들 63개 산업은 각 시도가 자율적으로 선정 한 후 산업부 조율을 거쳐 최종 확정됐다. 각 시도별 최대 5개까지 선정됐다.
이제 갓 출범한 세종특별자치시는 산업 기반이 취약한 탓에 자동차부품과 바이오소재 등 두 개 분야만 뽑혔다. 강원도도 웰니스식품과 구조용신소재, 스포츠지식서비스 등 3개 분야만 선정됐다. 이들 두 개 시도를 제외한 12개 시도는 모두 5개씩 주력산업으로 선정돼 정부의 지원을 받는다.
하지만 시도별 주역산업을 5개로 한정한 것에 대한 아쉬움도 나왔다. 또 산업수가 많다 보니 일부 중복도 눈에 띄었다. 기계부품산업이 대표적이다.
지능형기계부품(부산), 전기전자부품(충북), 기계부품(전북), 디지털기기 부품(경북), 지능형 생산기계(경남), 에너지부품(경북) 등 앞에 ‘지능형’ ‘디지털’을 붙여 차별화를 시도했지만 융합형 기계부품산업을 육성한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특히 산업부는 이들 2~5개 주력산업 중 디스플레이(충남), 디지털콘텐츠(부산), 스마트가전(광주) 등 14개 산업은 시도별 특화프로젝트에 따라 중점 지원할 예정이다.
지역(광역)을 초월한 시도별 협력 산업 16개도 처음 선정됐다. 지난 정부 때는 같은 광역권 안에서만 협력이 이뤄졌다.
산업부는 보다 큰 시너지 효과를 위해 이를 파괴해 초광역으로 진행하는 나노융합소재, 조선해양플랜트 등 16개 협력 산업을 선정해 지원한다. 16개 협력 산업 중 조선해양플랜트만 주관 기관(경남·부산)과 참여기관(전남·울산)이 두 곳이다.
나머지 15개 협력 산업은 각 한 개씩의 주관기관과 참여기관으로 구성됐다. 대표적 협력 산업으로 지목된 조선해양플랜트는 경남·울산의 대형조선소와 전남의 중소형 조선소, 부산의 조선해양기자재 업체가 협력해 남해안 벨트를 형성하며 조선해양플랜트 산업 발전을 도모한다.
산업부는 16개 협력 산업 중 △조선해양플랜트 △화장품 △의료기기 △기계부품 △광·전자융합 △기능성하이테크섬유 △친환경자동차부품 7개 분야만 먼저 올해 시범사업으로 선정해 240억원을 지원한다. 하지만 지역 간 협력 산업에 수도권을 배제한 점은 아쉽다는 지적도 있다.
이외에 지자체 연고 자원 발굴과 산업화를 위해 연구개발(R&D)·마케팅·네트워크·인프라 구축 등을 지원하는 지역연고산업육성사업(RIS)·지역혁신센터조성사업(RIC)·지자체연구소육성사업(RRI) 등 ‘3R’ 사업에 올해 813억원을 지원한다.
3R 중 RRI사업은 올해까지만 지원한다. 또 지방혁신도시로 이전하는 공공기관과 지역산업과 연계하는 사업(성장거점연계 지역산업육성사업)에 75억원, 지역에 기반을 둔 전통(연고)산업에 IT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해 지역의 새로운 먹을거리로 창출하는 지역연고산업 육성사업에 120억원을 각각 투입한다.
방은주기자 ejbang@etnews.com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시·도 주력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