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임원 연봉 수준 놓고 논란 확산

대기업 등기 임원 연봉 공개 후 수십억원을 넘는 급여액을 놓고 후폭풍이 일고 있다. 일부 오너 경영인은 많게는 수백억원에 달하는 소득을 올려 사회적 위화감까지 불러일으키고 있다. 당분간 대기업 임원 연봉의 적정 수준을 놓고 논란이 끊이지 않을 전망이다.

31일 각 기업이 공시한 바에 따르면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지난해 그룹 계열사로부터 301억원의 보수를 받았고,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도 140억원의 급여를 지급받았다. 계열사별 보수를 합친 금액이지만 통상 6000만∼7000만원 수준인 주요 대기업 일반 직원의 평균 연봉의 200∼500배에 이른다.

그룹사가 아닌 개별 기업으로만 따져도 격차는 크다. 김봉영 삼성에버랜드 사장 연봉은 18억6700만원이다. 직원 평균 연봉보다 31.1배 많다.

말로만 무성했던 오너 경영인, 대기업 임원들과 일반 직장인들의 급여 차이가 적나라하게 드러나자 사회적으로 파장이 일고 있다. 이들 임원의 거액 연봉이 기업 리더로서 누릴 만한 수준인지, 배분 정의에 어긋난 것인지를 놓고 사회적 논란을 촉발했다.

논란은 앞서 선진국에서도 일어났다. 지난해 스위스에서는 기업 내부의 최고 임금이 최저 임금의 12배를 넘지 못하도록 하는 방안이 국민투표에 부쳐졌다. 65.3% 반대표가 나오면서 부결됐지만 스위스 제약사 노바티스가 전임 회장에게 840억여원에 달하는 퇴직금을 지급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고액 임원 연봉 논란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국내에서도 논란은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해외에 비해 국내 대기업 임원 연봉이 많지 않다는 목소리도 있지만 크게 반영되지 않는 분위기다. 최근 기업 총수들의 사법 처리가 이어지면서 대기업 경영진에 대한 불신이 커진 상황이어서 전반적으로 사회적 여론이 좋지 않은 탓이다.

이호준기자 newleve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