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조3000억원 규모 우리나라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시장을 6년 뒤 30조원대 거대 시장으로 육성하기로 했다. 상위 50개 업체 평균매출을 1000억원까지 끌어올려 중소·중견기업 중심 생태계를 강화한다는 계획도 내놨다. ‘포스트 스마트폰’ 시대를 사물인터넷으로 주도하겠다는 야심찬 전략이다.
2일 미래창조과학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사물인터넷 기본계획(안)’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민관 합동으로 △창의적 서비스 시장 창출 △글로벌전문 기업 육성 △생태계 기반 조성 △규제 없는 산업환경 조성을 목표로 삼았다.
미래부에 따르면 2013년 국내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2조3000억원으로 연평균 33.33%씩 증가해 2020년 17조1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됐다. 이번 종합 계획은 ‘2020년 국내 30조원 시장’을 목표로 기존 전망치를 두 배 가까이 끌어올리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를 위해 우선 공통 플랫폼을 개발한다. 기존 산업 구조가 서비스 분야별로 소규모·파편화 돼 있다는 지적에 따라 디바이스와 응용플랫폼을 손쉽게 올릴 수 있는 ‘오픈 IoT 플랫폼’을 마련할 계획이다.
수요기업·기관별로 응용서비스와 플랫폼을 구축하는 기존 방식을 클라우드를 통해 서비스를 구매하는 시스템으로 바꾸는 것이다. 개발자는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이용자는 스마트폰 등을 활용해 직관적으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김정삼 미래부 인터넷신사업팀장은 “올해 하반기 글로벌 사물인터넷 협력체 ‘one M2M’이 서비스 플랫폼 표준을 제정하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스타트업 등 각 특성에 맞는 차별화 대응방향도 수립한다. 스마트홈, 웨어러블 등 대형 사업 접근이 가능한 통신사, 스마트기기 제조사는 글로벌 기업과 동맹을 지원하고 산업계에 개방형 생태계를 만들 수 있도록 돕는다.
중소기업에는 공통플랫폼과 실증테스트베드를 지원하고 소프트웨어(SW)·센서·디바이스·수요업체 등 이종기업 간 협업을 유도한다. 스타트업 분야에서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활용할 수 있는 오픈소스 하드웨어·소프트웨어를 제공해 창업 생태계를 조성할 방침이다.
지역 특성에 맞는 거점 사업도 추진한다. 서울·경기권은 스마트라이프, 부산·경남은 생태·해양, 제주는 관광·바이오 산업에 사물인터넷을 적극 활용하는 식이다.
규제는 최소화할 방침이다. 총리실 산하 정보통신전략위원회에 사물인터넷 민관협의회를 만들고 초기 규제 형성을 지양하는 한편, 필요하다면 진흥 입법을 검토한다.
모든 사물을 인터넷으로 연결하는 사물인터넷은 스마트폰 이후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스마트워치 등 웨어러블 기기는 물론이고 스마트카, 스마트홈, 헬스케어 등 정보통신기술(ICT)이 들어가는 모든 산업과 공공서비스가 포함된다. 2013년 세계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2000억달러로 2020년까지 1조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연평균 성장률은 26.31%다.
김정삼 미래부 과장은 “사물인터넷은 다품종소량생산 시장인 만큼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이들이 센서, SW 등 모든 분야를 다 잘할 수 없는 만큼 개방형 산업 생태계와 전 주기 종합지원체계를 만들어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시소기자 sis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