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대, 실용적·현장지향적으로 바뀐다

앞으로 공과대학 재정지원 사업 평가에 기술료 수입 등 실용적 지표를 대폭 강화하고 산업체 실적만으로 공대 교수를 채용할 수 있게 된다. 또 교육내용도 현장지향적으로 바꾸고 현장역량 강화를 위한 실습을 확대하는 등 공대 교육과정 전반에 획기적인 개혁이 시도된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10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제8차 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공대 혁신방안을 보고했다.

회의에서 권동일 위원(서울대 교수)이 공대 문제점 진단과 혁신 방향을, 미래부·교육부·산업부 공동으로 준비한 공과대학 혁신방안을 ‘공과대학혁신위원회’ 이준식 위원장(서울대 연구부총장)이 보고했다.

혁신위는 공대 주요 재정지원 사업과 교수평가가 과학논문인용색인(SCI)급 논문 중심으로 이뤄지다 보니 교수가 논문 중심으로 갈 수밖에 없었다고 지적했다. 논문 실적 위주로 교수를 채용하다 보니 현장 감각이 있는 교수진이 부족하고, 학교 수업과 현장과 괴리가 발생했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대학 재정지원 사업 평가에 실용적·질적 지표를 대폭 강화하고 산학협력·교육활동도 공정하게 평가하는 시스템으로 개편함으로써 교육·연구 개선의 선순환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고 보고했다.

혁신위는 대학 재정사업 평가 시 공학 분야는 별도로 분리하고, 공학 특성을 반영해 기술이전 성과와 기술료 수입, 질적 특허 등의 평가지표 적용을 제안했다. 교수 채용 시 산업체 경력의 연구실적 환산율 100% 적용을 유도하고, 교원평가 모형도 △교육트랙 △학술연구트랙 △산합협력트랙으로 세분화해 분야별 장점에 따라 평가받을 수 있도록 개편한다. 교육내용 면에서는 공학기초와 전공과목 비중을 강화하고 현장역량 강화를 위한 현장실습과 인턴제도 활성화하기로 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공과대학이 창조경제의 전진기지로 탈바꿈해야 한다”며 “실용적 교육과 연구를 강화해 기업 현장에서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고 연구개발 결과가 실험실에 머물지 않고 사업화와 신시장 개척으로 이어지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정부 출연연구기관에 대해서는 “창조경제 시대에 맞게 역할을 재정립해야 한다”며 “중소·벤처기업이 글로벌 히든챔피언으로 커나가는 데 정부 출연연이 조력자가 돼야 한다. 중소·벤처기업을 위해 정부 출연연이 중소·벤처기업의 연구소역할을 해줬으면 한다”고 밝혔다.

권건호·전지연기자 wingh1@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