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공대를 창조경제 전진 기지로…`실용` 전 분야에 접목

정부가 10일 발표한 공과대학 혁신의 핵심은 공대를 창조경제 전진기지로 만들기 위해 실용성을 강화하는 것이다. 현재의 이론 중심 공대에서 벗어나 산업계와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재 양성을 하겠다는 것이 목표다. 정부는 공대의 현장 지향성을 강화하고, 산학협력 활성화 등으로 공대를 변화시켜 갈 계획이다.

◇실용 떨어지는 공대

우리나라 4년제 공대 졸업생은 연간 약 6만9000명이다. 인구 1만명당 공대 졸업생이 2011년 기준 10.9명에 달해 독일 5.5명, 미국 3.3명 등 선진국보다도 훨씬 많은 수준이다. 하지만 전공지식과 실무감각, 문제해결 능력은 선진국 대학보다 낮은 수준으로 평가된다. 유능한 엔지니어 배출 정도는 세계 23위고, 대학교육 경제사회 요구 부합도는 41위까지 떨어진다.

연구활동 역시 실용 연구는 적고, 우수성과를 활용하는 측면도 미흡했다. 연구개발(R&D) 투자대비 기술료 수익률을 보면 한국 과기특성화대는 1.45%, 4년제 대학은 1.05%에 그쳐, 미국 전체 대학 평균 3.38%보다 한참 뒤진다. 이런 배경에는 정부 재정지원사업 평가나 교수평가 등 성과체계에서 실용연구·교육활동·산학협력 활동성과를 제대로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론과 실용 균형 있게 평가

평가제도 개편 방향은 이론과 실용을 함께 평가하는 것이다. 기존 과학논문인용색인(SCI)에 오르는 논문도 중요하지만, 기업연구비 수주와 기술료 수입 등 연구성과 활용지표를 비중 있게 반영하기로 했다. 학과별 특성을 고려한 평가지표도 개발할 예정이다.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 분야는 학술대회 발표실적이나 공개소스 개발실적 등을 반영하는 형태다.

정량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잠재역량, 결과, 영향 등을 피어리뷰(동료평가) 등을 적용해 도전적, 창의적 과제도 발굴할 계획이다.

교육공무원법을 개정해 SCI 논문이 없어도 우수 산업체 실적만으로 공대 교수가 될 수 있는 길을 여는 것도 산업과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함이다.

◇교육에도 실용 확대

공대 졸업생의 역량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도 다각도로 추진한다. 공학기초와 전공과목 비중을 늘리는 것은 기본이고, 공대생에 대한 소프트웨어 교육 확대도 추진한다. 또 학제 간 융합교육 활성화와 현장실습·인턴제 활성화, 기업가정신교육 활성화 등 산업 역량을 키울 수 있는 방안을 대거 도입한다.

이준식 혁신위원장은 “공대 교수들의 연구가 산업 영역과 멀어져 있다”면서 “논문 양적 평가에 치우친 것이 근본적인 문제인데, 산업체 기여도 큰 교수가 제대로 평가받을 수 있도록 해 공대와 산업현장이 함께 성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재정지원사업 평가가 보다 실용적으로 개선되면 교수평가가 실용적으로 개선되고, 교육과 연구의 현장지향성 강화로 연결될 것”이라며 “미래성장을 이끄는 창의적 공학인재를 양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과대학이 제 역할을 다해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권건호기자 wingh1@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