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콘텐츠 기업 지원을 위해 출범한 한국콘텐츠공제조합 곳간이 텅 비었다. 자금에 목마른 중소 콘텐츠 기업들 역시 조합에 대한 기대를 지워간다. ‘혹시나’ 했지만 ‘역시나’ 로 기운다. 이 때문에 조합 무용론까지 나온다. 든든한 자금이 생명인 조합이다. 곳간이 비면 사업자들이 외면하는 것은 인지상정이다.
박근혜정부 출범에 맞춰 내세웠던 3년 내 1000억원 기금 확보 목표는 ‘그림의 떡’이 되고 있다. 오는 6월로 국고지원이 중단돼 운영비조차 바닥이 드러나기 일보직전이다. 지난 10월 출범 이후 확보한 기금재원은 68억원에 불과하다. 세월호 애도 분위기 속에 문화와 콘텐츠 투자를 사치로 치부하는 분위기까지 감지된다.
콘텐츠공제조합은 지난해 10월 콘텐츠산업진흥법에 근거해 출범했다. 영세한 콘텐츠 기업 지원을 위해 탄생했다. 물적 담보가 없는 영세 콘텐츠 업체들이 은행권 담보 대출 등 기존의 금융제도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기 어렵다. 자생적 발전을 도와야 한다는 필요성에서 도입한 공제조합이다. 주 업무가 영세 콘텐츠기업 자금난 해소를 위한 자금 대여와 보증이다.
지금까지 성적표는 기대 이하다. 자금대여는 물론이고 이행보증 건수도 손에 꼽을 정도다. 이 같은 실적은 출범 당시부터 벤치마킹 대상이던 소프트웨어(SW)공제조합과 대조된다. SW공제조합은 지난 2012년에만 자금대여 3784억원, 이행보증 21조255억원을 지원했다.
현 정부의 문화 관련 키워드는 ‘문화가 있는 날’로 요약된다. 매달 마지막 수요일에 전국 주요 문화시설에서 무료 또는 할인 관람을 할 수 있는 날이다. 국민 문화 생활도 풍부해지고 산업도 키우겠다는 의지다. 이날 보는 콘텐츠에 제2의 뽀로로, 타요가 많아져야 한다. 그래야 문화산업을 창조경제 핵심으로 삼은 정책도 효과를 내기 시작한다. 중소 콘텐츠 기업들이 자생력을 키워 중견, 대기업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정책은 몇 개 되지도 않는다. 얼마 안 되는 정책마저 정부와 기업이 외면한다면 콘텐츠산업 미래는 암울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