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업계와 산업부가 의욕적으로 추진한 ‘자율주행자동차 메가 프로젝트’가 아쉽게도 정부 지원대상 선정 1차 심사에서 고배를 마셨다. 하반기 2차 심사가 있지만 결과를 장담하기 어렵다.
메가 프로젝트는 산업 진흥을 담당하는 주무부처인 산업부가 유망 분야를 선정, 집중 지원하는 제도다. 자율주행차의 경우 민간자금 1000억여원을 포함, 7년간 총 300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었다.
이 프로젝트가 중요한 이유는 지금이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 전환기’이기 때문이다. 이른바 ‘스마트카’로 불리는 똑똑한 자동차의 충격이 급격히 밀어닥치고 있다. 자동차와 IT가 융합해 스스로 판단하고 제어하는 자동차, 이것이 곧 스마트카요 자율주행차다. 이 경쟁에서 밀리면 한 나라의 자동차 산업이 몰락할 가능성마저 있다.
무엇보다 아쉬운 것은 자율주행차 메가 프로젝트가 정부 지원 우선 순위에서 밀려난 ‘이유’다. 관련 사정을 잘 아는 업계 관계자는 담당 공무원들이 ‘자율주행차=구글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지 못한다고 말한다. 여기서 구글카는 사람이 없어도 운행이 가능한 ‘100% 무인주행차’를 의미한다. 이 같은 무인차는 2030년이 넘어야 상용화가 가능한데, 굳이 지금 개발할 필요가 있느냐는 것이다.
한편으로 맞는 말이다. 20년 후의 일을 지금 준비하는 것은 우리나라 실정상 맞지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는 알고 둘은 모르는 일이다. 자율주행차를 곧 무인차로 보는 것은 무리다. 그것은 궁극의 목표일 뿐이다. 전문가들은 유인차와 무인차 사이를 다섯 단계로 구분한다. 3~4단계 정도의 부분 자율주행차는 2020년을 전후해 상용화가 가능하다. 다임러, 닛산 등 다수 완성차 업체가 이미 계획을 공식 발표하기까지 했다.
불과 5~6년 후면 자율주행차가 도로를 달리게 되는 것이다. 자율주행차는 공상과학만화가 아닌 ‘현실’이다. 자율주행차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바탕으로 정부 예산 지원이 이뤄지길 바란다.
김용주기자 ky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