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와 경남도의 항노화산업 주도권 경쟁이 뜨겁다.
부산시가 항노화사업단을 중심으로 정부지원 사업을 유치하며 드라이브를 걸자, 경남도는 항노화를 미래 전략산업으로 설정하고 중장기 항노화 클러스터 조성으로 맞불을 놓는 형국이다.
부산시는 지난 2011년 항노화기술개발사업단을 설립하고, 사업단을 중심으로 인프라 구축 및 연구개발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정부 지원 항노화산업지원센터 유치에 성공, 내년까지 3년간 190억원을 들여 센터 설립과 항노화 제품·서비스 개발 등 4개 과제를 추진한다.
또 항노화 국제심포지엄, 안티에이징엑스포 등 관련 국제 학술행사와 전시회를 개최하며 항노화 산업을 부산의 특화의료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중장기적으로 강원 원주(의료기기), 대구(의료기술, 뇌과학), 충북 오송(의약, 바이오)에 이어 부산을 ‘항노화’ 의료서비스 중심으로 키우겠다는 복안이다.
경남도는 이달 초 ‘경남 항노화바이오산업 육성 자문위원회’를 출범시키고 항노화바이오산업 육성에 시동을 걸었다. 지역 산학연을 아우른 13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위원회는 산업 육성과 지원정책, 필요과제·개선사항 발굴 등 경남 항노화바이오산업 육성 방향을 잡아나가는 역할을 맡는다.
이에 앞서 경남도는 올해 초 경남 미래 50년 핵심 전략사업의 하나로 항노화바이오산업을 선정, 항노화바이오 클러스터 조성을 최종목표로 삼았다. 오는 2018년까지 기반 구축을 마무리하고 2022년 자연약재의술이 어우러진 국내 최고의 클러스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현재 33개 사업에 총 5574억원 규모의 사업계획을 확정해 놓은 상태다.
국비 확보를 위해 내년 1000억원 규모의 ‘지리산권역 천연물 항노화 창조산업 기반 구축’을 예비타당성 사업으로 신청할 예정이다. 국회 정책포럼, 항노화바이오 박람회 등 산업 육성을 지원할 정책 마련 및 전시컨벤션 사업도 추진한다.
부산과 경남은 항노화산업 육성을 위한 제반 여건에서도 서로 우위를 주장하고 있다.
부산은 대도시 중 노인인구 비율이 가장 높아 상대적으로 우수한 의료 인력과 서비스 인프라를 갖추고 있고, 관광산업과 접목도 가능하다. 수도권을 제외하고 최대의 의료 인프라와 연구기관, 임상시험센터를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에 경남은 다양하고 풍부한 약용식물·해양생물 등 천연물 항노화산업 소재가 풍부하고, 신물질 원료 개발은 어느 지역보다 앞서고 있다. 또 10여년간 지역 특화전략사업의 일환으로 진주에 구축한 바이오산업 인프라가 경남 항노화바이오 육성 기반으로 작용할 수 있다.
부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
-
임동식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