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선 진격의 MOOC 서비스, 국내는 `오리무중`

온라인으로 유명 대학 강좌를 들을 수 있는 대규모 온라인 공개강좌(Massive Open Online Course, 이하 MOOC)의 국내 도입을 위해 정부 및 산업계가 힘을 합쳐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추진하는 한국형 무크(MOOC) 서비스인 ‘KMOOC(Korea MOOC, 가칭)’가 학점 인정 여부 및 예산 학보 문제로 제자리걸음을 걷고 있다. 교육부 산하기관인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서 추진하고 있으나 구체적 계획안이 나오지 않은 상태로 오리무중이다.

여기에 일선 대학에서 추진하는 무크 서비스도 대학 측의 소극적 지원으로 시범 서비스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해 고등교육의 식민지화를 우려하는 지적도 나왔다. 한 대학 관계자는 “국내 대학은 구조개혁 이슈에만 집중해 평가에 급급한 나머지 온라인 강좌 몇 개만 기부, 공유하는 수준에 그친다”며 “경쟁력 있는 온라인 강좌 개발에 투자하지 않는다면 고등교육의 온라인 서비스 시장도 해외에 잠식당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는 일찌감치 무크 서비스를 시작한 미국이나 지난 4월부터 정부, 대학, 산업계가 힘을 합쳐 무크 서비스를 시작한 일본과도 대조적이다. 일본도 지난해 ‘일본공개온라인교육추진협의회(JMOOC)’가 설립돼 지난달부터 강의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도쿄대학, 교토대학, 게이오대학, 와세다대학 등 10여개 이상의 일본 유명대학과 NTT 도코모, 스미모토 등 대기업이 플랫폼 개발에 참여했다.

교육업계에서는 KMOOC 서비스가 정부의 일방적 추진이 아닌 대학, 산업계, 연구기관들이 광범위하게 참여해 발전방향을 논의하는 차원이 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세계 3대 무크 서비스로 불리는 ‘코세라’나 ‘유다시티’가 이미 세계 유명 대학의 강좌를 앞세워 양적으로 앞서 나가 있는 상황인 만큼 정부가 추진하는 KMOOC은 차별화가 필수적이라는 지적이다.

국내 기업과의 적극적 협력을 통해 산업계에서 필요한 현장 중심 교육 과정의 우선 개설이나 차별화가 가능한 이공계열 중심의 무크 서비스 도입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이미 구글과 링크드인은 경력에 무크 강좌 이수 여부를 확인해 인재채용에 참고하고 있다.

한 교육업계 관계자는 “기존 온라인 강좌는 사이버대학이나 학점은행제 사업 위주로만 제한돼 실제 인력을 채용하는 산업계와 괴리가 컸었다”며 “정부 차원의 일방적 추진이 아닌 산학협력 중심의 새로운 무크 서비스 개발을 위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김명희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