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심해지는 자국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비 기준을 대폭 높인다. 또 순수 전기차에 이어 하이브리드카에 대한 보조금도 지원해 그린카 시장을 확대할 방침이다.
10일 외신에 따르면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최근 ‘자동차기업 평균연비 관리강화에 관한 통지(의견수렴안)’를 발표했다. 자동차 기업의 평균 연비를 2015년까지 리터당 약 14.5km로 높이겠다는 게 골자다. 현재 해당 안이 공시된 상태이며 2015년부터 시행된다.
이 안에 따르면 공업정보화부는 전년도 목표에 부합하지 못한 자동차 기업에 ‘차량생산기업 및 상품공고’ 신고 및 생산시설 증축 확대, 생산 프로젝트 심사비준을 잠정 중단할 수 있다.
공업정보화부는 지난해 자동차 제조사별 평균 연비를 발표하고 79개 중국계 자동차 기업 중 24개 기업이 평균연비 목표치에 부합하지 못했다고 전했다. 목표를 달성한 기업의 수는 2012년 대비 3분의 1 수준으로 하락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에 강화된 기준이 적용되면 이들 24개 기업은 2015년 신차 신고를 할 수 없다. 또 신규 사업 및 생산설비 확장에 대한 허가를 받지 못하는 등 상당한 타격을 입게 된다. 중국의 이치그룹, 상치그룹, 베이치주식회사, 광치자동차 등이 기준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외신은 순수 전기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처럼 새로운 에너지 자동차 판매로 일부 차종의 평균 연료소모량을 낮춘다면 2015년까지 평균 연비 기준을 맞출 수는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다만 2016년 이후 새로운 표준(리터당 20km)이 적용되면 연료 절약기술이 더욱 강화된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순수 전기자동차가 개발돼야 한다.
또 하이브리드카에 대한 보조금 지원책도 강화될 전망이다. 한 중국 매체는 업계 관계자를 인용해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중국 정부가 대당 최고 3만위안까지 보조금 지급을 고려 중이라고 전했다.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이 된 중국에서 정부의 이 같은 방침은 우선 도요타, 닛산 등 일본 자동차 기업의 대중 수출에 수혜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등 에너지 차량과 이를 기반으로 다져진 연비 기술로 일반 차량 점유율을 더욱 확대하는 포석이 될 것이란 평가다.
◇글로벌 제조사는 영향 미미…현지 제조사 기술력 끌어올리는 전략
중국의 평균연비 상향 조정 방침은 기존 중국 자동차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GM, 폴크스바겐, 현대기아차 등 글로벌 제조사에게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보다는 중국이 자국 제조사의 기술력을 끌어올려 대기오염 문제를 해소하고 수출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방점이 찍혀있다는 설명이다.
이성신 BMR컨설팅 대표는 “한국이나 독일, 일본 등 글로벌 제조사에게 평균연비 14.5km 정도는 그리 위협적인 수준은 아니다”라며 “현지 제조사의 경우 어려움이 있지만 자국 제조사에 대한 유예조건이 많이 있기 때문에 불리하다고 볼 수는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오히려 현지 제조사의 기술력을 끌어올려 내수와 수출 확대를 내다본 장기적인 전략”이라고 덧붙였다.
◇하이브리드카 보조금 확대에 日기업 수혜 전망
현재 하이브리드 자동차 생산기술은 일본 제조사가 가장 앞서있다. 그 중 도요타의 ‘프리우스’가 독보적이며 단일 차종으로 전 세계 누적 판매량 600만대를 넘었다. 도요타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중국 합자 생산기업인 이치그룹, 광치그룹도 이번 정책의 수혜를 입을 것이라고 외신은 전했다.
앞서 도요타는 중국의 보조금 확대 정책 발표에 따라 2015년까지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전면적으로 중국 내에서 생산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혼다는 같은 목표를 2016년까지 이룬다는 계획이다.
중국의 자동차 국가별 수입을 보면 현재 독일, 일본, 미국, 영국 등 선진 자동차 생산국의 비중이 80%를 차지하는 가운데 독일은 고급 제품을 중심으로 특화돼 있다. 일본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한국은 SUV와 소형밴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수입국 점유율은 독일(45%), 한국(22%), 일본(17%) 등이다.
정미나기자 mina@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