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지 한 달이 훨씬 지났지만 우리 사회는 아직도 몸살을 앓고 있다. 사전에 충분히 방지할 수 있었고, 수많은 인명을 구할 수 있었음에도 미흡한 대응과 수습 과정에서의 행태는 국민들로 하여금 한없는 무력감과 자괴감을 느끼게 했다.
세월호 참사와 같은 국가적 재난의 해결과 수습 과정에 정보통신기술(ICT)과 과학기술이 제 역할을 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너무도 컸다. 재난을 예방하고 구호에 필요한 새로운 ICT·과학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이미 개발된 기술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
국가적 재난·재해를 예방하는 데 ICT와 과학기술이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짚어보자.
우선 항해에도 ICT를 접목해야 한다. 항해를 하려면 항공 탑승처럼 승선 출입시스템을 필히 갖춰야 한다. 자동차, 컨테이너 등 배에 선적한 물건의 무게와 평행수를 ICT 시스템으로 계측(카운트)하는 장치가 요구된다. 위치추적 GPS로 운행 선박의 행적과 위치정보, 대피경로 등을 통제하는 통합지령시스템도 제대로 갖춰야 한다.
앞으로 국가재난안전통신망 검토에 속도가 붙겠지만 이를 근간으로 경찰·소방·군 등 재난 수습관련 기관의 긴급 통신망 지휘체계와 운영방식을 일원화해야 한다.
둘째, 지하철과 육상 교통망도 첨단 IT 및 교통 기술을 융합해야 한다. 이를 위해 ‘지능형 교통체계(ITS)’ 도입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최근 일어난 서울지하철 2호선 추돌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은 신호기 고장이었다. 만일 ICT가 제대로 작동했다면 추돌을 피할 수 있었다.
셋째, 강·하천에도 홍수예보시스템을 제대로 갖춰야 한다. 과거 물 때문에 일어난 재난을 보면 경찰과 소방당국, 군부대, 한강홍수통제소 등 당국이 서로 책임을 전가한 적이 많았다. 앞으로 센서를 기반으로 한 홍수지령 시스템의 실시간 작동과 관계자들의 신속한 대처가 요구된다.
넷째, 문화재 화재 방지 및 지속적 원형 보존을 위한 문화재 화재방지 시스템도 과학적으로 짜여야 한다. 불꽃 방지시스템 설치가 법제화됐는데 이를 강력히 시행하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빅데이터 기반 위험물 취급소와 폐기물 매립장, 유형별 대응 매뉴얼과 대처방안, 가상훈련 등 위험물 종합관리 통합 플랫폼도 만들어야 한다. 화물 광역 위치추적 기술개발은 현재 하고 있다. 하지만 빅데이터 기반의 위험물 차량과 유해물질 관리, 각 부문의 안전한 이동경로 센서와 통합관리시스템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여섯째, 사이버 국가안전과 산업기간망 보안(스턱스넷) 대책도 시급하다. 전기·가스·수도·통신 등 산업기간망을 해커로부터 보호하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일곱째, 범죄 없는 안전한 도시와 안전한 등·하굣길을 위한 대책도 현재보다 훨씬 더 많이 추진돼야 한다.
여덟째, 한국형 고정밀 측위기술을 개발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더 이상 지진, 태풍의 안전지대가 아니다. 구글 등 선진국에 의지할 것이 아니라 한국형으로 지속 연구개발해야 한다.
아홉째, 강·하천에 ICT를 접목한 ‘스마트 리버’를 조성해 안전한 물 관리를 해야 한다. ICT와 생명공학(BT), 환경기술(ET)을 융합한 최첨단 기술의 발광미생물 기법과 감지센서 등으로 실시간 모니터링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시스템 구축과 함께 인재로 인한 재앙을 막기 위해서는 평상시 제대로 된 시스템 점검과 훈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양재수 단국대 전자전기공학부 교수 jsyang@dankook.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