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세계 공유경제의 수도` 독일에서 배운다

[이슈분석]`세계 공유경제의 수도` 독일에서 배운다

독일은 ‘세계 공유경제의 수도’로 불린다. 그만큼 공유경제를 활용하는 인구가 많고 지역 사회 안에서 구조적으로 자리잡았다.

독일의 대표적 지역 기반 공유경제 모델로는 ‘라일라(Leila)’ 프로젝트가 꼽힌다. 지난 2011년 니콜라이 볼페르트가 만들었다. 독일 녹색당이 베를린 선거에서 진 후 지역기반의 정책을 찾는 과정에서 나온 결과다. 400명의 지역주민 지지를 시작으로 프로젝트가 활성화됐다.

라일라는 자신의 물건을 가져다주는 동시에 회원 등록을 할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 가끔 필요로 하는 물건이 공유 대상이다. 이 프로젝트는 현재 독일의 다른 도시로 전파돼 비슷한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볼페르트 씨는 “가정에서 보유하고 있는 전기드릴의 경우 전체 생활에서 사용하는 시간이 13분에 지나지 않는다는 통계가 있다”며 “자선 가게보다 도서관처럼 물건을 빌려 쓸 수 있는 곳에서 필요한 상품을 공유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독일은 라일라와 같은 풀뿌리 프로젝트와 더불어 다임러, BMW 등 대기업이 주도하는 공유경제 구축도 활발하다. 독일 정보통신산업협회(BITKOM)에 따르면 독일 인터넷 사용자의 약 83%가 물건 또는 콘텐츠를 인터넷에 공유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 공유경제에 가장 활발하게 반응하고 있는 분야는 자동차 시장이다. 독일 카셰어링 시장에는 지정 주차장에 차량을 반납할 필요가 없는 편도 서비스 등이 늘어났다. 지난 2010년 5000대던 차량 보급대수는 지난해 약 1만4000대로 늘었다.

카셰어링 이용 규모는 차량 증가폭보다 더 크다. 2010년 약 19만명이 이용했던 시장 규모는 지난해 약 76만명 규모로 성장했다. 오는 2020년에는 340만명가량이 이용할 전망이다.

이 밖에도 빈 방이나 남은 음식, 옷, 액세서리 등 다양한 제품을 공유하는 창업기업도 성장세다. ‘푸드셰어링’은 남은 식재료나 팔리지 않은 빵 등을 웹과 모바일 앱에 등록해 판매하거나 필요한 사람이 가갈 수 있다. ‘9플라츠(9flats)’는 에어비앤비처럼 개인의 빈방을 플랫폼에 등록해 대여한다. ‘프렌츠(Frents)’는 공구, 잔디깎기, 보드게임, DVD 등 모든 제품을 개인이 올려 대여비를 설정한 뒤 빌려줄 수 있다.

독일 공유경제는 기존 시장도 변화시키고 있다. 공유경제 활성화로 친환경적이고 윤리적인 소비를 실현할 수 있는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관심을 키웠다.

디터 켐프 독일 정보통신사업협회장은 “공유경제는 스마트폰 확산으로 인한 모바일 환경 구축이 기폭제로 작용했다”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이 공유경제 성공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독일 카셰어링 기업 현황 / 자료: KOTRA>


독일 카셰어링 기업 현황 / 자료: KOTRA

<독일 대표 공유경제 기업 / 자료: 각사 취합>


독일 대표 공유경제 기업 / 자료: 각사 취합


김창욱기자 monocl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