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강화하는 글로벌 추세 맞춰 과학교육 강화해야

미국과 유럽을 비롯해 최근 중국 등도 과학 교육 강화에 나서는 글로벌 추세에 맞춰 우리나라도 과학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현재 교육부가 추진하는 문이과 통합 교과과정 개편안에서 과학 교육을 축소하려는 움직임은 글로벌 추세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교육부와 한국창의재단이 18일 서울교육대에서 개최한 ‘과학 교육과정 포럼’에서 참석자들은 과학 교육 축소에 반대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과학 교육, 강화해야

발표자로 나선 송진웅 서울대 교수는 “수능에서 국영수 대비 과학+사회의 점수 비율이 지난 2005년 300대 200에서 올해는 300대 100까지 감소하면서 학교가 편성 자율권을 활용해 국영수 교육을 강화했다”면서 입시로 인한 과학교육 축소가 문제라고 말했다. 송 교수는 “(과학을 축소하는 교육과정 연구위 안은) 실험 실습이 필요한 과학과목 특성에 대한 고려도 없다”고 덧붙였다.

이덕환 서강대 교수는 “일제 잔재인 문이과 구분 교육을 폐지하고, 물리·화학·생물·지구과학으로 나뉜 과목 간 구분도 철폐해야 한다”며 “개념 교육에서 의미와 가치, 역할을 가르치는 모든 학생을 위한 과학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병기 한국생물공학회장은 “(과학교육 수요자인) 대학에서 학과별로 학과목 이수 기준 가이드라인을 주고 해당 과목 이수 학생에게 가산점 주는 방식이 가능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현장 교사 ‘과학교육 확대’ 한 목소리

실제 초·중·고등학교에서 과학을 가르치는 교사들도 과학 교육은 축소가 아닌 확대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화성 서울시 교육청 장학관은 “필수이수 단위를 줄이고 학교 자율 선택권을 강화하면 결과적으로 고등학교 교육을 왜곡하게 된다”고 밝혔다. 이 장학관은 “학생들이 반드시 배워야 하면서도 입시제도 등의 영향으로 소홀할 것이 우려되는 사회나 과학 교과는 필수이수 단위수를 늘려야 한다”면서 “학생들이 기초 소양을 골고루 갖춰야 향후 선택한 진로에서 크게 성장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선희 신관중학교 교사는 “과학 교육의 궁극적 목표는 과학능력 향상이 아니라 학생의 성장이 돼야 한다”며 “과학 교육은 학생 성장에 아주 유용한 도구이며, 핵심역량을 강화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과학 교육과정 개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성화용 반천초등학교 교사는 “아이들은 과학을 좋아하고 상상의 나래를 펼치는데, 교과서는 이론이나 공식을 가르친다”며 “새 교육과정에서 교과서는 과학 이론과 개념이 학생의 현실과 이어지는 통로가 돼야 한다”고 밝혔다.

◇연구위 인적구성부터 한계

과학 교육 축소로 방향을 잡은 데는 교육과정 개정 연구위 인적구성부터 잘못됐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이어졌다. 특히 세부 연구 과제에서 전문성을 확보하겠다는 교육부 해명에도 우려가 잦아들지 않고 있다. 처음 지적됐던 전공 편중 문제가 그대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연구위 산하 12개 세부과제를 통해 교육관계 전문가, 전공 교과별 전문가가 참여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세부 연구 책임자의 면면 역시 총론을 맡은 연구위와 별반 다르지 않다는 지적이다. 이들 역시 교육과정평가원 소속 1명을 제외하면 전원이 사범대학·교육대학 소속 교육학자들이기 때문이다. 연구책임자 12명 중 3분의 1인 4명은 연구위 소속이기도 하다.

이에 대해 이덕환 서강대 교수는 “(연구위가) 과학기술 사회가 요구하는 전인교육과 진로교육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꼬집었다.

권건호·송준영기자 wingh1@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