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이 안팎으로 위기다. 높은 인건비와 인력난에 중국과 동남아 국가의 거센 도전에 시달린다. 제조기술 격차마저 급격히 좁혀진다. 중국은 웬만한 제조업에서 우리나라를 앞섰으며, 이제 첨단 제조업까지 넘본다. 탈출구가 보이지 않는 한국 제조업에 새 ‘동아줄’이 나왔다. 스마트공장이다.
스마트공장은 생산 현장에 통신, 소프트웨어, 사물인터넷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제조 전 과정을 지능화하는 시도다. 원자재, 전력 관리부터 인력 관리, 노동 환경 개선까지 망라한다. 독일과 같이 스마트공장을 본격화한 나라에서 일부 기업은 획기적인 성과를 보였다. 제조업 부흥을 선언한 미국, 일본도 뒤따랐으며 우리나라도 가세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만개 공장에 ICT를 접목하는 제조업 혁신 전략을 추진한다. 2020년까지 정부 3000억원, 민간 7000억원 등 총 1조원을 투입한다. 민관 합동의 ‘제조혁신위원회’와 ‘스마트공장추진단’을 만들어 로드맵을 짜고 실행한다.
선진국에 비해 늦게 출발했지만 빨리 따라잡을 수 있다. ICT 인프라가 발달해 융합 시도가 용이한 덕분이다. 문제는 이를 구현할 업체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소프트웨어 업체는 많아도 제조현장과 밀착한 솔루션을 개발하는 업체는 드물다. 하고 싶어도 당장 수요가 적으니 섣불리 투자하지 않는다. 통신업체도 당장 실익이 적은 B2B 사업에 소극적이다. 스마트공장 프로젝트가 이러한 ICT 업체의 참여를 북돋는 계기로 작용해야 할 것이다.
제조기업 경영자의 인식 전환도 과제다. 스마트공장을 모르는 경영자가 태반이며, 알아도 그 효과를 반신반의한다. 이들을 적극 참여로 바꿔 놓으려면 가시적 성과를 빨리 보여주는 것이 지름길이다. 시범사업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스마트공장은 제조혁신을 넘어 경영혁신이다. 그간 전혀 몰랐던 경영상 오류를 발견해 개선할 수 있다. 어떻게 보면 제조혁신 이상으로 중요한 일이다. 스마트공장 프로젝트는 우리나라 제조업이 더 발전할지 도태할지를 판단할 중요한 바로미터다. 민관이 힘을 모아 반드시 성공시켜야 할 사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