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바이오]`웰니스` 신성장동력으로 공동 육성하겠다더니…미래부·산업부 출발부터 우려

‘맞춤형 웰니스 시스템’ 사업은 정부가 창의와 융합을 기반으로 국가의 새로운 먹거리가 될 수 있는 9대 전략 산업 중 하나로 꼽은 분야다.

정부가 구상하는 맞춤형 웰니스 사업은 일상생활에서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착용형 기기를 바탕으로 응용 서비스와 기술·콘텐츠를 개발하는데 방점을 두고 있다.

정부는 이에 맞춘 시범사업을 추진, 2020년까지 국내 산업을 세계 맞춤형 웰니스 시장 5위권으로 도약시킨다는 목표다.

그러나 업계는 미래창조과학부와 산업통상자원부의 엇갈린 행보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 양 부처의 주도권 싸움에 정책이 혼선을 빚게 되고, 결국 기회를 놓치게 되는 것 아니냐는 게 핵심이다.

업계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R&D 전략 기획단에 과제를 줬다. 건강 서비스 플랫폼과 유전체 등 헬스케어 관련된 사업 계획을 추진하라는 것이 골자였다.

그런데 이 내용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미래부와 산업부가 공동으로 추진키로 한 ‘맞춤형 웰니스 시스템’ 사업과 유사한 내용들이 포함돼 산업부가 독자적인 맞춤형 의료 서비스 개발을 추진하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다.

산업부와 미래부가 공동으로 구성한 추진단 내부에서도 이를 독자 행보 선언으로 받아 들이고 있다.

추진단에 속한 한 인사는 “추진단에서도 세부계획들을 마련했었는데 산업부가 이를 따로 준비한다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면서 “추진단 내에서도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이야기들이 오고 갔다”고 전했다.

또 다른 인사는 “산업부에서 미래부에 독자 노선을 통보했다는 말을 들었다”면서 양 부처가 이미 등을 돌렸다는 풀이까지 했다.

미래부와 산업부가 뜻을 합치지 못하고 갈등을 벌이는 이유는 의료와 IT의 융합이 주목 받고 미래 성장 동력으로 부상하면서 산업 정책의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실제로 미래부는 ‘13대 미래 성장동력’ 중 하나로 ‘맞춤형 웰니스 케어’ 사업을 추진해왔다. 산업부 역시 ‘13대 창조경제 산업엔진’ 중 하나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시스템’을 준비했는데, 이를 하나로 통합하다보니 추진 주체가 모호해지고 성과에 대한 평가도 불명확해질 가능성이 있어 초기 보다 분명한 주도권을 쥐는 과정에서 이번 갈등이 표출됐다는 분석이다.

사안에 정통한 업계 관계자는 “산업부에서는 관련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강한 리더십이 필요하고 이에 독자적인 사업 추진도 필요하다는 걸 명분으로 내세우는 것 같지만 결국 부처의 실적 때문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윤건일기자 ben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