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최근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제조업 혁신 3.0 전략’을 내놓았다. 이 전략은 △융합형 신제조업 창출 △주력산업 핵심 역량 강화 △제조 혁신 기반 고도화의 3대 전략과 △IT·SW 기반 공정혁신 △융합 성장동력 창출 △소재부품 주도권 확보 △제조업 소프트파워 강화 △수요 맞춤형 인력 및 입지 공급 △동북아 R&D 허브 도약의 6대 과제를 담았다.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제품 경쟁력을 유지함으로써 우리 제조업의 진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제조업 혁신 3.0 전략의 6대 과제 후속 대책의 하나로 ‘스마트공장 1만개 보급’을 내세웠다. 이를 위해선 생산 과정의 실시간 모니터링과 공정의 최적화, 품질 및 자원 관리, 고객 요구 대응 및 환경 적응성을 높이는 유연한 생산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그 해결책은 생산관리시스템(MES)에서 찾을 수 있다.
제조의 핵심 키워드는 ‘로트 추적’(Lot tracking)을 통한 생산성과 품질 향상으로 수렴된다. 이를 위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장비 및 설비를 적절히 제어, 모니터링해 관리자에게 생산 현황을 실시간 보고하는 구조다.
여기서 취합된 데이터를 전사적자원관리(ERP)에 연결해 생산 가격을 낮추기 위한 원가관리 활동이 가능해지고, 공장의 상황을 즉시 파악해 적시에 대처함으로써 생산 수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중소 규모 제조업의 스마트 공장화를 위해서는 네 가지를 고려해야 한다. 첫째, 전산 인력 공급 문제다. MES 도입을 위해서는 시스템을 운영·관리할 인력이 우선 확보돼야 한다.
둘째, 기존 MES 시스템은 대규모 제조업을 대상으로 만들어져 구축 비용이 크고 당장 중소 제조업에 불필요한 부가 기능이 많다. 설치 및 테스트 기간이 짧게는 4~5개월, 길게는 1년 이상 소요되기도 한다. 따라서 단기간에 컨설팅과 구축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콤팩트한 시스템을 고려해야 한다.
셋째, 전산 환경을 염두에 둬야 한다. 전산 인력이나 시스템을 갖추지 않고서도 사용 가능한 클라우드형 시스템 공급이 필요하다.
넷째는 강력한 정부 지원이다. 그동안 여러 중소 규모 제조업체를 직접 찾아 컨설팅한 결과, 시스템 도입 필요성은 인정하면서도 비용과 시스템 운용 고민으로 결정을 미루는 사례가 많았다. 정부에 자금지원을 요청해도 뿌리산업이 아닌 중소 규모 제조업은 예산 지원 부문에서 후순위로 밀려 프로젝트 진행을 중단하게 되는 때도 있었다.
제조업이 살아야 국가 경제가 산다는 말이 있다. 제조업은 기술의 원천이며, 고용을 창출하고 지역 경제를 살릴 수 있는 국가 산업·경제의 근간이다. 그러나 언제부터인지 원가 압력과 인력 부족에 시달리던 우리 제조업체가 해외로 나가면서 국내 지역 및 경제는 취약해졌다. 원천 기술이 소리 소문 없이 경쟁 국가에 넘어가는 현상도 빈번하다.
이제는 우리 중소 규모의 제조업을 일으키는 한편, 해외에 있는 우리 제조업이 돌아올 수 있는 제조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스마트 공장 1만개 구현은 제조업을 위해 정부가 가장 구체적이고 실질적 효과를 볼 수 있는 정책이며, 중소 제조업에는 시스템 걱정을 덜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이 될 것이다.
이러한 노력으로 우리 제조업의 경쟁력이 후발 주자의 기술 추격으로부터 한발 벗어나는 동시에, 독일과 같은 제조 선진국으로 도약하기를 기대해 본다.
성명호 아이티콤 대표 mhsung@itcom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