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사업화 활성화를 위해 위해 대학 스스로 바뀔 수 있는 가장 빠른 방법은 교수 평가 제도 개선이다.
전문가들은 이공계 혁신 방안을 대학 기술사업화와 연계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대학기술사업화 성과나 산학협력 여부에 따라 이공계 교수를 평가하면 교육과 기술 사업화의 산학연의 선순환 체계가 만들어질 수 있다는 말이다. 공과대학도 산학연 실습 및 현장 교육으로 시장 맞춤형 인재를 양성할 수 있다.
그동안 철강, 열역학, 강전 등 전통적 공학분야는 SCI 논문 쓰기가 어려워 현장 경험이 풍부한 산업체 인사의 교원 채용이 어렵고 대우도 열악하다. 결국 공과대학이 양적으로 크게 성장한 것과 달리 산업계 수요에 부응하는 기술역량과 실무능력을 갖춘 인재가 부족하다.
지난 4월 공과대학 혁신방안을 계기로 대학과 산업계의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학계와 산업계 대표 등으로 구성된 공과대학혁신위원회는 교수 평가도 교수별 장점에 따라 △교육 △학술연구 △산학협력 활동을 적정비율로 선택할 수 있도록 평가모형을 세분화하는 혁신안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정부 재정지원사업 선정 시 연구 성과와 함께 산업체로 기술이전한 성과, 기술료수입, 특허숫자 등을 고려하는 것도 추진한다.
대학 기술 사업화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바로 인재다. 특히 원천 기술을 사업화하는 과정에서는 반드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대학의 주요 구성원인 교수와 석박사 연구원처럼 우수 인재들이 적극적으로 연구개발과 사업화에 나설 수 있어야 기술 사업화의 성공사례가 나올 수 있다. 공과대학의 경우 산학협력 참여 촉진을 위해 대학 특성에 맞게 파견·연구년 활동, 산업체 재직자 교육 등 산학협력 실적 인정항목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한 공과대학 교수는 “기술지주회사 사업화나 자회사의 원천 기술 개발에 참여하지 않은 교수라도 기업의 후속 개발을 지원하고 이를 대학 차원에서 실적으로 인정해주면 보다 적극적 산학협력이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명희기자 noprint@etnews.com
-
김명희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