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후핵연료 처리 현장을 가다]핵연료 처리 한국형 솔루션 필요

“샌디아 국립연구소가 개발한 핵연료 수송·저장용기와 관련 기술을 국내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을까?”이에 대한 샌디아 연구진의 대답은 “아니오(No)”였다. 연구원들은 핵연료를 밀폐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해 방사능 누출이 없도록 한다는 기본 시작은 같지만, 샌디아 연구소가 개발한 기술이 바로 대한민국에서 사용되기는 어렵다고 입을 모았다.

문제는 바로 현지 실증이다. 아무리 안전한 기술이라도 현지 지질구조와 토양상태, 주변환경, 과거의 지반 데이터베이스 등에 기반한 현지실증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이들이 핵연료 저장시설에 대한 시험설비를 운영하고 일부는 실제 사용하고 있지만, 계속해서 연구 데이터를 축적하는 것도 같은 이유다. 국토면적이 좁고,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적은 우리나라 실정을 따져보면 지금 당장이라도 현실실증 테스트를 통한 신뢰도 쌓기 작업에 나서야 된다.

핵연료 채처리 문제도 한미원자력협정 등 국제관계 이슈에만 머물지 말고 경제적 관점에서 연구가 필요하다. 미국은 현재 핵연료 재처리를 하지 않고 있다. 핵무기 비확산이라는 명분이 앞에 서 있지만, 그 내면에는 재처리보다는 우라늄을 채취해 발전하고 처분장을 만들어 보관하는 게 경제적으로 더 이익이라는 판단이 함께 있다. 우리 정부도 국제안보 이슈를 넘어 순수 연구 목적으로라도 국내 국토환경과 우라늄 수급상황, 처분장 건설비 필요한 비용 등을 따져가며 과연 무엇이 현실적으로 바람직한 방안인지 고심해야 한다.

샌디아 연구진들은 핵연료 관련 정책적 결정은 과학적 연구결과에 근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역사회 반대와 정치적 이슈로 흔들리지 않고 수년간 연구 끝에 얻어낸 과학적 근거에 결론을 내려야 투명성과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핵연료 처분장 부지 선정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점을 지역 공감대 형성이 아닌 지질학적 안정성으로 꼽은 그들이다.

피터 스위프트 샌디아국립연구소 수석과학자는 “과학자들은 모든 것을 알 수 없다는 생각에 항상 낮은 자세에서 문제를 해결하고 보수적으로 전망하지만 이를 약점으로 과학적 연구에 흠을 잡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핵연료 처분 공론화 과정은 정치적 이슈가 아닌 과학적 정보에 근간해야 하며 이를 위해선 충분한 실증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