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대 혁신의 메카를 가다] <7> 한국해양대 해양조명·전력IT센터

조선·해양·플랜트 세계 1위 국가 경쟁력을 바탕으로 ‘히든 챔피언’을 만드는 대학 연구소가 화제다. 한국해양대학교는 1919년에 설립된 해양요원을 양성하는 전문기관을 모태로 1945년 정식으로 문을 열었다. 1991년 국립 종합대학교로 승격돼, 내년이면 대학 설립 70년을 맞는다. 부산시 영도구에 자리 잡은 해양대는 연구개발, 인재양성, 산학협력 등 해양혁신벨트의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 현대중공업, 한진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까지 세계 1위를 다투는 조선해양플랜트 기업이 ‘부울경(부산·울산·경남)’ 지역을 근거지로 한다.

한국해양대 해양조명·전력IT센터 길경석 센터장(전기전자공학부 교수)이 학생들과 실험을 진행하는 모습
한국해양대 해양조명·전력IT센터 길경석 센터장(전기전자공학부 교수)이 학생들과 실험을 진행하는 모습

한국해양대 해양조명·전력IT센터도 역사·지역·산업의 탄탄한 인프라를 바탕으로 조선해양플랜트용 LED 조명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육지’에서는 LED 가격경쟁력이 검증된 지 오래지만 ‘바다’는 사정이 다르다.

길경석 한국해양대 해양조명·전력IT센터장(전기전자공학부 교수)은 “LED는 해양에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평가 받는다”며 “백열등 하나를 달더라도 기구가 더 중요한 해양에서는 기구와 일체화된 LED 제품을 개발해 가격을 더 높게 받을 수가 있다”고 말했다.

길 센터장은 해양조명 분야가 해양이나 선박, 조선을 모르고서는 개발할 수 없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높은 분야라고 설명했다. 민간 기업이 하기 어려운 함정용 LED 조명 표준화를 민군규격통일화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해 채택되는 데 성공했다. 한국해양대의 동문 네트워크도 기술 개발에 직·간접적 도움을 줬다. 선후배가 졸업 후 해양기업이나 해군 등 전문분야로 진출해 실습 기회를 만드는 것도 상대적으로 수월했다.

무엇보다 산학협력 프로젝트에 참여한 중소기업을 세계시장에서 활약하는 ‘히든챔피언’으로 성장시킨 것은 손꼽히는 성공사례다. 극동일렉콤은 한국해양대와 지속적으로 산학협력을 진행한 결과 지난해 매출 300억원에서 올해 두 배 정도 성장한 600억원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조선경기가 살아나면서 대규모 사업 수주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새로 건조되는 배나 리모델링하는 배 모두 LED 조명을 달았다. 현재 해양조명등의 30% 정도가 LED 조명으로 전환됐기 때문에 향후 투광등, 작업등 같은 고부가가치 특수조명분야로 전환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길 센터장은 “LED는 융합산업이기 때문에 칩, 아날로그 회로, 방열, 광학 디자인, 통신 기능 모두를 고려해 개발해야 한다”며 반도체, 전자전기, 소프트웨어 전문가 모두가 적극적으로 기술 개발에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해양대센터 역시 6년의 사업기간 동안 교수 17명, 연구원 470여명이 참여했다. 그는 “조선은 세계시장이 우리나라에 있기 때문에 발전가능성이 높다”며 “세계 시장을 무대로 한 강소기업을 키울 수 있는 신시장 개척을 위한 도전이 계속 이뤄져야 한다”고 포부를 밝혔다.

길경석 한국해양대ITRC센터장

-해양조명 분야 전문가로 통할 수 있는 배경이 궁금하다.

▲부친이 해양공무원이었다. 고향이 백령도다. 속초, 제주도를 오가며 실제 조업을 함께 다녀오기도 한다. 공학은 교과서적으로 공부해서는 배울 수 없는 분야다. 공학도는 기본에 충실해야 하지만, 응용이 중요한 분야이기 때문에 산업현장에서 적용을 배우는 것도 중요하다.

▲공학 교육을 하면서 강조하는 것이 있다면.

-공학은 매년 다르다. 1·2학년은 교과서만 봐도 충분하지만, 3학년부터 응용이 들어가면 작년에 배운 것을 쓸 수 없을 때도 있다. 교수도 끊임없이 연구를 안 하면 창의적 연구개발이나 교육을 할 수 없다. 단순한 시뮬레이션이 아닌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것을 가르쳐야 한다.

▲산학협력 성과가 뛰어난 데, 비결이 궁금하다.

-대기업은 투자 여력이 있다. 미래창조과학부의 지원을 받는 ITRC 사업은 가능성 있는 중견·중소기업의 영역이다. 대학의 역할이 중요하다. 대학이 연구개발에 비즈니스 모델까지 제시해줘야 한다. 이해관계가 적은만큼 기관, 기업을 오가며 가교역할을 할 수도 있다. 참여기업도 구체적 목표와 타깃이 있어야 한다. 정확한 목표치를 제시하고, 스스로 역량과 지원방안을 분석·제시할 줄 알아야 한다.

김명희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