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개정안에 과학교육을 축소하려던 당초 계획에서 한발 물러섰다. 과학 필수이수 단위를 초안의 10단위보다 2단위 늘리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하지만 지난 2009 교육과정보다 과학 교육이 축소되는 것은 엄연한 현실이어서 우려의 목소리가 여전하다. 특히 현 교육과정 개정의 문제점을 지적해온 과학계는 인재상 정립 등 근본적 철학이 없는 교육과정 개정에 동의할 수 없다는 방침을 고수했다.
교육부와 국가교육과정 개정연구위원회(이하 연구위)는 12일 한국교원대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 공청회를 개최한다.
연구위는 논란이 된 과학교육 축소는 한발 물러섰다. 세 개 시안 중 두 개는 과학 필수이수 단위가 12단위고, 한 개는 14단위다. 초안보다 각 2단위씩 늘었다.
현행 교육과정인 2013 수시 개정안과 비교하면 과학 필수단위는 2~4단위 확대된다. 하지만 2009 교육과정과 비교하면 1~3단위 줄어드는 것이다.
과학계는 교육부가 공개한 총론 시안에 반대 의사를 고수했다. 사회적 합의 없이 개정했던 2013 수시 개정안 역시 인정할 수 없는 만큼 과학이 확대됐다는 데도 동의하지 않았다.
과학계는 단순히 과학 과목 시수의 문제가 아니라 이번 개정의 철학 부재가 문제라는 의견이다. 교육학자들이 아닌 각 분야 전문가가 참여해 교육과정 개정 방향을 재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진수 충북대 물리학과 교수는 “시안은 과학 교육의 철학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 없이 시수 배분에만 신경 쓴 것”이라며 “단적으로 시안에는 교육의 근본 목표인 인재상에 제대로 된 정의나 방향성도 없다”고 지적했다.
정 교수는 “각 분야 전문가가 참여해 국가 교육과정 개정 전체를 재검토해야 한다”며 “그런 측면에서 시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강조했다.
연구위 시안에 따르면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2018학년도부터 고등학생은 문·이과 계열 구분 없이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을 공통과목으로 배운다. 사회와 과학 교과에는 세부 과목을 넘어서는 통합적인 이해를 위한 ‘통합 사회’와 ‘통합 과학’을 필수 과목으로 신설한다. 과학에는 과학탐구실험도 필수로 포함했다.
소프트웨어 교육을 강화하고자 고등학교 심화선택 과목 중 하나였던 ‘정보’ 과목을 소프트웨어 과목으로 개편해 일반선택 과목으로 전환한다.
교육부는 공청회 등을 거쳐 24일 주요사항을 최종 발표하고 추가 연구를 거쳐 내년 9월 최종 확정 고시한다. 초중고 학교현장에는 2017년과 2018년에 걸쳐 연차적으로 적용할 예정이다.
권건호기자 wingh1@etnews.com
-
권건호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