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빅데이터 전담 인력을 상한선 없이 충원하는 등 대대적인 사업 확대에 나섰다. 당장 수익을 내지 못해도 미래를 위해 꾸준히 투자 규모를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김이식 KT 미래사업그룹 빅데이터프로젝트장(상무【사진1】)은 “빅데이터팀 전담 인력을 지난 연말 30명 수준에서 상한선 없이 충원할 계획”이라며 “전 부서에 걸친 빅데이터 지원 인력을 포함하면 100여명으로 늘었지만 지속 투입이 필요하다”고 15일 밝혔다.
내·외부를 통틀어 진행 중인 프로젝트 20개를 40여개로 늘리면서 인력 투자도 대폭 늘리겠다는 뜻이다. 플래그십 형태로 내놓던 외부 프로젝트 비중도 10% 이상으로 높이고 홍보도 강화한다.
이는 지난해와 올해 상용화한 서울시 심야버스 노선도 개편 사업과 올해 선보인 조류독감(AI) 방역체계 개선 사업이 모두 성공적으로 평가받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초 각 사업부에 흩어져 있던 빅데이터 부서가 통합된 뒤 지금까지 빅데이터프로젝트팀은 주로 통신망 효율화, 조직 분석 등 자사 내부 과제를 수행해 왔다. 앞으로는 서울시 심야버스 노선 개편·AI 확산경로 파악 등 굵직한 프로젝트 외에 전수 조사가 필요한 위험관리·재난 분야, 일반인과 광범위하게 연관성 있는 질병 영역 등을 발굴해 사업화할 예정이다.
1년 동안 내놓은 빅데이터 융합 사업 모델이 성공적이었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KT의 전략도 주목 받고 있다. 사업 선정 기준을 △수집된 빅데이터가 있는 분야 △기본 인프라가 구축된 분야 △빅데이터를 이용해 차별화할 수 있는 ‘품질 차별화 구간’ 존재 여부 등 세 가지를 전제로 전통 산업에서 아이디어를 찾았다. 타 산업 실무자와 인터뷰를 통해 빅데이터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파악하는 영업 방식도 들어맞았다.
규제에 대해서도 빅데이터 업계와 다소 다른 목소리를 냈다. 빅데이터 확산이 느린 대표적 이유로 정부 규제가 꼽히지만 법이나 정책은 별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김 상무는 “규제가 있든 없든 빅데이터 산업은 성장할 수 있다”며 “굳이 장애물이 있는 사업 분야에 무리해서 뛰어들기보다는 규제가 없거나 약한 산업과 융합으로 수익 모델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제정하려는 ‘빅데이터 가이드라인’ 등 정부 개인정보보호 규제 완화에 대한 비판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주요 사업 당사자인 KT가 이 같은 입장을 나타낸 건 이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