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구호뿐인 정부 3D프린팅산업 육성

3차원(3D) 프린터는 설계 디자인만 있으면 어떤 물건이든 실물로 곧바로 만들어내는 기계다. 모형부터 인공관절, 총까지 만들지 못할 물건이 없다. 적용소재는 주로 플라스틱이나 금속, 목재, 바이오 분야로 넓어진다. 3D프린팅은 특히 제조현장에서 유용하다. 시제품 생산 시일을 획기적으로 단축해 생산성을 높인다. 이 때문에 이는 제3차 산업혁명을 가져올 기술로 평가를 받는다. 2018년까지 세계 제조기업의 25%가 도입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은 물론이고 중국, 대만 등이 3D프린팅 산업을 경쟁적으로 육성하는 이유다.

우리 정부도 동참했다. 지난 4월가 6월에 여러 부처 공동으로 3D프린팅 발전 전략과 로드맵을 내놨다. 연구개발(R&D)부터 보급 활성화와 신시장 육성까지 다양한 전략을 담았다. 박근혜 대통령도 창조경제 신기술로 육성하라고 지시했다. 정작 관련 내년 정부예산은 크게 깎여 업계 기대에 찬물을 끼얹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미래창조과학부 예산을 합쳐도 65억원이다. 특히 미래부 예산은 마지노선으로 삼았던 88억원이 기획재정부 협의과정에서 20억원으로 삭감됐다. 미래부는 전국에 조성 중인 국민참여네트워크센터와 셀프제작소에 핵심 설비인 3D프린터를 설치할 돈이 없어졌다. 45억원인 산업부 예산도 거점별 3D프린팅 기술기반 제조혁신지원센터 구축 계획에 턱없이 모자란다. 예산 부족으로 3D프린터가 아예 없거나 있어도 시늉만 내는 상황이 불가피하다.

3D프린팅은 제조업 혁신과 생산성 향상을 이끌 핵심 수단이다. 또 미래 창조경제를 이끌 인재 양성에도 반드시 필요하다. 학업 현장에서 3D프린터로 뭔가를 직접 만들어보는 경험은 엄청난 미래 자산이다. 이러한 의미가 예산 편성과정에 전혀 부각되지 못했다. 이럴 바에는 아예 발전전략을 내놓지 않은 것이 옳았다. 괜한 기대감만 키웠고, 정책 당국을 향한 불신만 쌓였다.

정부 예산안이 확정된 마당이다. 국회만이 관련 예산을 다시 늘릴 수 있다. 국회는 예산 증액을 통해 정부보다 제조업 미래와 창조경제를 더 챙기고 있음을 보여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