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이 이달 말이나 다음 달 초 제2차 고위급 회담을 갖기로 했다. 지난 2월 1차 이후 끊어진 고위급 접촉이 8개월여 만에 재개된다. 남북 관계 개선 기대도 덩달아 고조됐다.
북한이 인천 아시안게임 폐막식에 고위급을 깜짝 파견해 이뤄진 일정 합의임을 주목한다. 지난 8월 우리 정부의 회담 제의를 거듭 거부했던 북한이다. 아시안게임에 선수단을 파견해 대화에 응할 듯 보였지만 끝내 응원단을 파견하지 않아 앙금을 내보였다. 이랬던 북한 당국이 폐막식에 맞춰 고위급을 보냈다. 우리 측의 2차 고위급 접촉 제안도 수용했다. 북한이 비로소 대화 의지를 보인 셈이다.
물론 북 대표단은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친서를 갖고 오지 않았다. 청와대 예방도 이뤄지지 않았다. 남북 정상회담과 같은 기대는 지금 단계에서 너무 성급하다. 악화일로인 남북관계를 반전시킬 극적인 계기를 찾았으며 이 불씨를 계속 살리는 것이 중요하다.
남북관계를 개선하려면 서로 원하는 것이 뭔지 찾고 그 교집합을 넓혀야 한다. 그 실마리는 개성공단 재개 이후 사실상 진척이 없는 경제협력 논의 재개에 있다. 북한에 가장 절실한 문제는 경제다. 심지어 한국과 중국 정부가 외면한 일본 아베 정권과 접촉하는 것도 그 일환으로 해석된다. 북한 경제 발전은 박근혜 대통령의 ‘통일대박론’과도 궤를 같이 한다.
북한은 경제 발전을 위해서라면 중국, 러시아, 일본 등 인접국가에 어떠한 특혜라도 줄 태세다. 동북부 지역 개방도 적극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남북 관계가 계속 꼬이면 경제 협력 주도권을 다른 나라에 빼앗길 수 있다.
2차 접촉 일정까지 합의했지만 의제까지 합의한 것은 아니다. 우리 정부가 경협 카드를 확실하게 제시한다면 북한은 다른 의제도 받아들일 것이다. 의제가 민감한 정치외교·군사 문제에 집중된다면 대화 난항은 물론이며 모처럼 조성된 대화 국면이 언제든 냉각될 수 있다. 정부는 남북 경협에 재계 의견을 적극 청취해 2차 고위급 접촉을 준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