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그룹사들의 지방 이전은 올해 초부터 진행되고 있다. 한국남동발전이 전력그룹사로는 최초로 지난 3월 진주로 본사를 이전했고, 6월에는 한국동서발전이 울산으로 자리를 옮겼다. 최근에는 한국남부발전이 부산으로 본사를 이전 해 새로운 보금자리 적응에 한창이다.
발전공기업들이 지방 이전으로 가장 신경을 쓴 부분은 직원들의 정착과 업무 연속성 확보였다. 각 사별로 300여명에 달하는 직원들이 10년 넘게 이어 온 서울 생활을 정리하고 새로운 곳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문제와 불만들이 제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행히 업무 연속성에서 아직 큰 문제는 발생하지 않고 있다. 발전공기업 특성상 각 발전소 현장이 여러 지역에 분포돼 있었던 까닭에 본사 위치만 옮겨졌을 뿐 업무 절차와 방법은 크게 바뀌지 않았다.
직원들의 적응을 위한 회사 차원의 배려도 있었다. 한국동서발전의 경우 울산 이전과 함께 직원 가족들을 대상으로 현지 산업시설 견학과 인프라 시찰 등을 진행 해 불안감을 해소하는 데 주력했다.
최근에는 효율성 중심의 새로운 업무 문화가 싹트고 있다. 탄력 근무제가 대표적이다. 그동안 정부가 도입을 권유했던 탄력 근무제는 이제 필요에 의해 정착되고 있다. 출퇴근 시간도 출퇴근 기록부가 아닌 업무 결제 시간을 통해 기록된다. 주말 부부 생활을 하는 직원들은 탄력 근무제를 활용해 평일 근무를 연장하고 서울을 오가는 월요일과 금요일 출퇴근 시간을 조정하는 업무 운영의 묘를 살리고 있다. 월요일과 금요일 출퇴근 시간에는 교통편을 구하기 힘든 문제도 탄력 근무제를 통해 해결책을 마련하고 있다.
서울에 출장 업무가 있는 경우에는 안전행정부가 운영하는 스마트워크센터를 적극 활용한다. 지역 이동으로 발생하는 왕복 6시간이 넘는 시간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가장 먼저 이전을 완료한 한국남동발전은 내부 조직과 업무 시스템을 정착시키고, 지역 사회와의 네트워크 확대에 노력하고 있다. 본사 이전 시점부터 주민과의 끈끈한 유대 강화 기조를 전면에 세운 만큼 지역 대기업으로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울타리 없는 사옥으로 방문객 및 지역 주민이 산책로 등 옥외 공간은 물론 강당·체육관에도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게 한 점은 이를 잘 드러낸다.
여기에 신입사원 채용 인원의 9%를 지역 인재로 채울 계획이다. 또한 전주시와 산학 협력 체결에 따른 지원(10억원/년간)으로 에너지 산업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 활동을 돕고 있다.
한구동서발전 관계자는 “울산에 정착한 지 5개월 가까이 되면서 탄력 근무제 활용 등 효율 중심의 업무 문화가 정착되고 있다”며 “지방 이전이 경직됐던 공기업 문화에 유연성을 더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
-
조정형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