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년 전 생활상, 귀중본 고신문DB로 엿보다

70년 전 생활상, 귀중본 고신문DB로 엿보다

신문은 당시의 주요 정치, 사회, 문화뿐 아니라 유행까지 고스란히 담고 있는 매체다. 특히 1944년부터 1949년까지의 독립신문, 독립신보, 대한독립신문(민보), 조선중앙일보(서울석간), 민중일보, 중앙신문 6종에 실린 광고 34,278건을 보면 당시의 사회현실이나 생활상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 인상 깊다.

당시의 신문들을 살펴보면 매독신쾌제(梅毒神快制, 매독치료제) 광고가 609건, 사루소당카-루(보조식품/의약품)가 421건, 영제의원(永濟醫院, 병원)이 154건 게재돼 당시의 보건의료체계가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았으며 매독 환자가 상당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대창양행(大昌洋行, 화장품) 150건, 평양양화점(平壤洋靴店, 구두) 139건, 장춘각(長春閣, 음식점)이 108건이나 게재돼 있어 당시의 의식주 생활상이 어땠는지 엿볼 수 있다.

이러한 고신문들은 당시의 유행과 주요 사건들을 알 수 있어 학술연구자료로서의 가치가 높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영화, 방송, 웹툰 등의 콘텐츠 창작 소재를 발굴하는 데도 큰 도움이 돼 그 활용 폭이 넓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국립중앙도서관(관장 임원선)은 귀중본으로 소장 중인 고신문을 디지털화해 디브러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평소에 쉽게 접할 수 없었던 귀중본 고신문을 일반인들 누구나 인터넷을 통해 편리하게 접할 수 있도록 한 것.

국립중앙도서관의 고신문DB는 한국 근현대사의 역사적, 사료적 가치가 높은 1924~1950년까지의 근대신문 54종 478책을 디지털화 했다. 지난 해 7종 34책을 추가한 데 이어 올해에는 9종 35책을 추가할 예정이다. 특히 기존에는 복사본으로 디지털 작업을 했으나 작년부터 원본을 통해 디지털 작업을 수행해 당시의 신문들을 생생하게 접할 수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관계자는 “고신문 디브러리 서비스가 제공되면서 일반인이나 콘텐츠 창작자들이 고신문을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어 향후 다양한 산업 분야에 귀중본 고신문이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뿐만 아니라 귀중본 디지털화 사업은 우리 문화 유산을 영구 보존하고 개방/공유/소통/협력의 정부 정책에도 적극 부응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