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의회가 구글을 검색 서비스와 나머지 부문으로 분리하는 안을 통과시켰지만 실제로 실행여부는 미지수다. 구글이 이에 따르지 않을 경우 제재 방법이 없고, 유럽연합집행위원회(EC) 측은 이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반독점법 등 사법적 제재가 필요한 사안을 정치적으로 푼다는 비판도 만만치 않다.
가디언은 분리안 가결 후 EC가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고 28일 보도했다. 유럽의회는 서비스를 분리하도록 명령할 직접적인 권한이 없어 EC를 압박할 수 있을 뿐이다.
EC가 해야 하는 역할을 의회가 나서서 했다는데 대한 반발이 먼저 나왔다. 앤드류 안시프 EC부의장은 “우리는 반독점 행위에 대해 신중하게 조사해 왔다”며 “게이트키퍼 권한을 남용하는 건 아닌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마리오 마리닐레오 전 반독점조사위원은 “정치인들이 극단적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신중한 판단이 아닌 정치적 쇼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요아킨 알무니아 EC 반독점조사위원장은 “이 이슈에 대해 신중하게 조사해 왔고, 많은 이해관계자에게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사안이라고 본다”며 “결정을 내리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유럽 내에서도 즉각 이같은 반론이 나오는 이유는 구글이 가진 사회·경제적 영향력과 효용, 구글에 대항할만한 인터넷 검색서비스가 딱히 없다는 점 등 복합적인 이슈가 얽혀있기 때문이다.
현재 EU차원에서 벌어지고 있는 논의는 대부분 미국 IT기업들을 규제하는 방안이다. 구글에 대한 반독점법 논의 외에 콘텐츠 이용료를 부과하는 ‘구글세’, 애플에 대한 탈세 분쟁 등은 유럽 내 미국 기업들의 영향력을 약화시키거나 제재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잊혀질 권리’를 존중하지 않는다는 비판이나 개별 국가별 벌금 부과 등도 마찬가지 차원이다.
지난 2011년에는 EU법집행추진회의에서 유럽 내 폐쇄적 인터넷 통신망 정책 ‘쉥겐 클라우드’를 내놓기도 했다. 미국 국가안보국(NSA)가 불법적으로 해외 정부를 감시하고 있다는 폭로가 나온 뒤 유럽과 타 지역의 통신망을 분리하는 가상 방화벽을 구축하자는 주장이 나왔다. 이 역시 단순히 진입을 막는 차단 정책일뿐이다.
문제는 유럽 산업·기업 보호 논리와 사용자 편의성을 비교할 때 생긴다. 구글 지도 때문에 유럽 내 지도·내비게이션 업계는 고사 직전으로 몰리고 있다. 통신사업자들이 통신망에 투자를 해야 한다는 점도 부담이다. 보호주의 정책을 펼 수밖에 없다.
반면 사용자들은 구글이나 페이스북을 대체할만한 서비스를 찾지 못하고 있다. 검색 시장 분야에서 구글의 미국 시장 점유율은 60%대를 기록하고 있다. 반면 유럽에서는 구글이 검색 시장 90%, 광고시장 80%를 점유한다. 구글 영향력이 강력해 경쟁사가 클 수 없는 상황인지, 유럽 내 자생적인 검색서비스 업체가 없어 구글이 이 시장을 장악한 것인지도 이제는 판단하기 어려운 시점이다.
이 상황에서 구글을 지지하는 사용자들도 상당수다. 윌러드 폭스톤 텔레그래프 기자는 “구글은 우리 삶을 더욱 편리하게 만들었다”며 “유럽의회보다 구글이 낫다”는 평가를 내리기도 했다.
오은지기자 onz@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