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경영’이 화두다. 특허는 갈수록 경쟁이 치열해지는 글로벌 시장에서 기업의 연구개발(R&D)과 혁신의 결과물을 보호할 강력한 무기다. 한 기업이 특허 출원에 적극적이지 않다면 애초부터 보호할 혁신이 없거나 후발주자에게 시장을 내주겠다는 의사 표시나 마찬가지다.
얼마 전 업계를 충격에 몰아넣은 모뉴엘 사태가 그랬다. 모뉴엘은 제품의 기술적 보호를 위한 등록특허가 한 건도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천재 기업가로 칭송받으며 금융권에서 수천억원을 융통하고 각종 권위있는 대회에서 상을 휩쓸었지만 IT기업으로는 특허 하나 없는 ‘속빈 강정’이었다.
비단 모뉴엘 만의 일은 아니다. 업계 한 사장은 “대기업이든 중소기업이든 한국 제조사들은 해외 특허괴물(NPE)에게 가장 만만한 먹잇감”이라며 “기업은 기업대로 특허침해 소송에 대응할 인프라와 인력이 없고 의식이 부족하며 기업 차원에서 다 갖춰도 걸핏하면 국가 간 정치 논리에 손해를 감수하기 때문”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특허의 중요성에 대한 민관의 의식이 총체적으로 부족하다는 의미다. 세계 4위 특허 강국이지만 출원 건수가 많을 뿐 특허의 내용이나 각 기업의 대응력 등 질적 차원의 경쟁력은 여전히 바닥이라는 게 한국 특허 생태계의 ‘불편한 진실’이다.
지금도 현대·기아차, LG전자 등 신성장동력을 찾아 뛰는 우리 대기업은 NPE, 해외 대기업 등의 수많은 특허 공격을 온 몸으로 버티고 있다. 하지만 같은 경우 특허경영에 대한 의식이 없었던 수출중기는 기업의 존폐를 가를 타격을 받게 된다.
특허경영이 ‘필요충분조건’이라는 의식의 대전환이 절실하다. 업종에 관계없이 의식 확대를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그런 의미에서 ‘2014 전자ICT 특허경영대상’은 기업 규모가 중소 중견기업이지만 특허 경영에 매진해 글로벌 특허괴물과 맞서 당당히 이겨낸 기업들의 노력의 산물이라 의미를 부여할 만하다. 어찌 보면 자신의 자산을 지키는 당연한 노력을 치하하는 상이다. 하루 빨리 특허경영을 잘했다고 주는 상이 무색해지는, 그런 ‘특허강국’이 실현되길 기대한다.
정미나기자 mina@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