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공사업 43년만에 체질개선 나서···역량강화 최종안 발표

1971년 ‘전신전화설비공사업법(현 정보통신공사업법)’이 제정된 이후 큰 변화가 없던 정보통신공사 업계가 43년 만에 대대적인 체질 개선에 나선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정보통신공사업 역량강화 방안’ 중장기 로드맵을 최종 확정해 적극 추진한다고 지난 5일 발표했다. 2017년까지 매출 2조원 증대, 신규 일자리 2만4200개 창출이 목표다.

정보통신공사업 역량강화 방안은 미래부와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한국정보통신산업연구원이 인터넷 산업 고도화와 ICT 환경 변화 등에 대처하기 위해 마련한 전략이다. 정부와 관계 기관이 정보통신공사업을 ‘미래형 뿌리산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처음으로 대대적인 변화를 시도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역량강화 방안은 △시장역량 △기술역량 △인적역량 △행정·지원역량 4대 핵심 분야별 9개 세부 정책과제로 이뤄진다. 입찰 등 시장정보 수집과 축적, 제공을 위한 종합정보시스템이 구축된다. 불공정행위 금지 규정을 신설하고 표준품셈 현실화 등 공정경쟁 환경 조성도 추진된다.

신시장 개척 지원을 위해 글로벌 경쟁력 강화도 지원한다. ‘창조기업사업단’ 운영으로 중장기 기술개발 수요를 발굴하는 것도 주요 과제 중 하나다. 또 기업부설연구원 등을 활용해 기술을 확보하고 개발 기술 사업화를 지원하는 것도 포함됐다. 기능대학 학과와 커리큘럼 개편, 융합형 교수인력 보강 등으로 인적역량도 강화한다.

정보통신공사업은 8000여 업체, 40만명이 종사하는 대표적 ICT 중소기업형 산업이다. 2013년 말 기준 시장 규모가 13조원에 이르지만 중소기업의 영세성과 전통적 시공기술 등은 개선돼야 할 과제다. 공사업을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제반 여건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공사업은 대표적 3D 업종이라는 인식으로 우수 인재 확보가 어렵고 첨단 시공기술 개발에 소극적이어서 새로운 시장 창출과 매출 증대로 이어지지 못했다”며 “통신인프라 고도화와 사물인터넷 확산 등으로 새로운 수요가 늘고 있어 역량 강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역량강화 방안 마련의 배경을 밝혔다.

<정보통신공사업 역량강화 방안 / 자료:미래부>


정보통신공사업 역량강화 방안 / 자료:미래부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