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차세대 인터넷주소 IPv6 통합인증체계를 만든다.
이른바 ‘무제한인터넷주소’로 불리는 IPv6 인증이 간소화되면서 사물인터넷(IoT) 등에서 IPv6 도입이 빠르게 확산될 전망이다. 정부는 통합인증체계 구축에 기반을 두고 미국의 ‘US거버먼트v6(USGv6)’와 비슷한 표준화·시험인증 프로그램인 ‘코리아v6(가칭)’로 발전시킬 방침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IPv6 기반 서비스 상용화가 확산될 수 있도록 IPv6 인증 통합 및 간소화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민간 자율로 운영되는 IPv6 관련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베리파이드(Verified)’ 인증과 국제 IPv6 포럼이 운영하는 ‘IPv6 레디 로고’ 프로그램 간 통합된 인증체계 구축이 핵심이다.
베리파이드 인증은 주로 국내에서 활용되는 프로그램이다. TTA는 이와 별도로 국제 인증인 IPv6 레디 로고 프로그램의 공인시험소 역할을 수행하며 관련 심사원을 보유하고 있다. 통합 및 간소화 사업은 두 인증 간 시험과 인증 기준에서 차이를 없애 통합 인증만 받으면 베리파이드 인증과 IPv6 레디 로고를 동시에 획득할 수 있는 제도다.
인증은 IPv6가 지원되는지를 검증하는 절차다. 그동안 IPv6 인증을 획득해 국내외 사업을 하려는 기업은 국내와 해외 인증을 별도로 획득해야 했다. 각각 2~3주의 시간과 적지 않은 비용이 소요된다. 하지만 인증이 통합되면 국내 업체의 인증 획득에 소요되는 기간과 비용이 대폭 줄어 IPv6 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전망이다.
IPv6는 IoT와 클라우드, 모바일 기기의 급속한 확산에 대응하기 위한 필수 기술이다. 국제인터넷관리기구(ICANN)는 2011년 2월, 우리나라는 같은 해 4월 IPv4 신규 할당을 중지했다. 향후 2~3년 내 IPv4 고갈이 예상돼 IPv6 전환 없이는 IoT 등의 신규 서비스 수요를 감당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국내 업체가 세계 최초로 IPv6 레디 로고를 획득했지만 우리나라의 국제 IPv6 인증 획득은 2014년 12월 현재 전체 1713건 중 100건에 불과하다. 공인시험소가 운영되는 세계 5개국 중 최저 수준으로 대만의 30%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미래부는 인증 통합 및 간소화 사업은 기술 분야 확대와 프로파일링 표준 제정으로 미국이 운영하는 US거버먼트v6(USGv6)와 유사한 제도(코리아v6, KRv6(가칭))로 발전하는 교두보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됐다.
USGv6는 미국 국립기술표준원(NIST) 주도의 표준화·시험인증 프로그램이다.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
-
안호천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