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 산업 생태계 구성을 위한 마스터플랜 필요성이 제기됐다. 모든 산업이 경계를 허물고 하나의 공동가치에도 함께 이익을 공유하는 ‘에코 사이언스(Eco Science)’에 기반을 두고 지역과 분야별 성장로드맵을 만들어 경제 성장을 이끈다는 주장이다.
17일 열린 창조경제특별위원회는 창조 경제를 위한 새로운 산업 육성 전략 프레임 워크로 에코 사이언스의 가능성을 진단했다.
에코 사이언스는 애플 아이폰 등장 이후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한 디바이스, 통신, 문화, 콘텐츠, 액세서리 등 수많은 산업이 이익을 창출한 것처럼 특정 아이템을 매개체로 여러 산업이 융합해 생태계를 구성해 상호 이익을 추구하는 패러다임이다.
이날 창조특위에서는 권혁인 중앙대학교 교수가 국내 산업의 새로운 생존전략으로 에코 사이언스의 개념과 사례, 가능성 등을 소개했다. 권 교수가 설명한 에코 사이언스는 산업 간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융합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가 나오는 지금 제품과 서비스 개발부터 판매까지 여러 영역의 이익집단이 함께하는 생태계를 구성해 경쟁력을 갖추는 구조다.
전기차를 예로 들면 전기차 개발을 위한 연구지원과 인력, 생산단계에서의 제조와 품질·인증체계 시장을 대상으로 한 공급계획과 제도 개선, 충전 인프라 구축 등 산업이 만들어지고 성장하는 데 필요한 모든 부문에 이해당사자들이 역할 분담을 하고 전기차 판매가 늘어나면서 공동의 이익을 창출하는 방법이다.
창조특위에서는 에코 사이언스 개념의 산업 성장에는 무엇보다 이를 진두지휘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와 로드맵이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다양한 산업군이 한데 모여 융합하는 만큼 장기적이고 범부처적인 기관이 필요하다는 인식이다.
전하진 국회의원(새누리당 창조특위 소위원장)은 농촌지역 에코 사이언스 개념 적용에 관심을 보였다. 국내 농가의 문제점인 저소득과 중노동 문제를 에코 사이언스로 해결할 수 있다는 견해다. 유기농 농산물의 중국 수출이라는 목표를 놓고 ICT를 접목한 스마트온실, 중국 시장 유통 채널 개척과 고객 확보, 홍보 마케팅, 품종 개선 등을 담당하는 기업이 함께 참여해 새로운 농촌 비즈니스 모델을 만든다는 기대다.
전하진 의원은 “그동안 농촌 지원이나 다른 연구개발 지원들이 단편적으로 이뤄지다 보니 새로운 사업과 비즈니스 창조로 이어지는 데 한계가 있었다”며 “이런 비용들을 모아 산업과 지역별 융합단위 산업의 성장 마스터플랜을 만드는 데 사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
-
조정형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