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차세대 자동차, 반 보 빨리 도전해야

차세대 기술은 개발 자체가 산업계 관심사가 된다. 시장 여건과 추진 주체에 따라 약간 다르지만 이 관심은 조용히 사라져버리는 때가 대부분이다. 차세대 기술을 상용화 단계까지 끌어올리고, 이를 비즈니스화해 ‘규모의 경제’를 이뤄내는 것은 로또에 당첨될 확률만큼이나 쉽지 않기 때문이다.

차세대 기술을 상용화해 글로벌 시장을 선점하는 과정은 더욱 지난하다. 사업화 과정에서의 엄청난 변수에 적절히 대응하고 경쟁 우위를 지속적으로 확보해 나가는 것만이 그나마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길이다. 카이스트가 개발한 전기차 무선 충전 방식 기술도 그 중 하나다.

카이스트는 이미 수년 전 이 기술을 개발했으나, 여러 변수로 인해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최근 카이스트는 동원올래브, 대우버스, LS전선, 한국전기차서비스 등과 함께 이를 업그레이드하는 국책사업 일환으로 ‘저비용 무선충전 전기버스 상용화 사업’에 착수했다. 전문가들은 이 기술이 기존 온라인 전기버스나 배터리 교환형과 비교해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한다. 특히 미국, 유럽, 일본 등의 기술보다 먼저 상용 기술을 보유할 수 있어 세계 전기차 시장을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글로벌시장에서 실기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상용화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전기차뿐만 아니라 스마트카, 자율주행차 등도 차세대 자동차 기술 경쟁이 세계적으로 치열하다. 우리보다 자동차 기술 개발 역사가 훨씬 길며, 기술력을 앞선 선진 기업들도 사활을 걸고 기술 선점에 도전한다. 우리가 이런 선진기업과의 경쟁에서 뒤지지 않고, 미래 자동차 시장에서 선전하려면 더욱 치열한 노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현실은 외국보다 행보가 늦다.

업계와 정부는 기술 개발과 혁신과 더불어 법·제도와 인프라 정비, 시범사업 등을 병행해 상용화 여건을 빨리 조성해야 한다. 차세대 자동차 시장은 불모지다. 반 보 빨리 도전하는 진취적인 노력 없는 한, 우리는 영원히 ‘패스트 팔로어’에 머물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