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창조경제밸리 자족 공간 확보 절실

2005년 조성을 시작한 판교 테크노밸리가 올해 10년을 맞는다. 판교 테크노밸리는 융합기술 중심의 첨단 혁신클러스터로 대한민국 대표 기업이 입주해 비즈니스 거점으로 자리잡았다. 포스코·넥슨·엔씨소프트 등 870여개 기업, 6만명이 근무하는 첨단 산업 생태계를 구축했다.

그렇지만 2011년 분양을 완료한 판교 테크노밸리는 확장공간이 부족해 신규 입주 수요에 대응이 어려웠다. 부지 면적은 미국 실리콘밸리 대비 0.02%에 불과하다. 선진 클러스터로는 협소하다. 첨단 업종의 핵심 자원은 인력이다. 고급 인력을 확보하기 쉬운 도심 입지가 필요하다. 그런데 도심은 높은 임대료 때문에, 도심 주변은 입지 부족 때문에 입주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같은 첨단 업종의 도심 주변 입지수요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지난 15일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판교 창조경제밸리 구상을 밝혔다. 이어 16일 기업 투자 활성화를 위한 ‘혁신형 기업 입지 확대 방안’에서 창조경제밸리에 대한 구체적인 청사진을 밝혔다. 판교 테크노밸리 인근 도로공사 부지와 그린벨트 지역, 외교부 산하 KOICA 일부 부지를 활용해 ‘제 2 테크노밸리’를 조성하고 판교 테크노밸리와 연계한 삼각 클러스터인 판교 창조경제밸리를 만든다는 구상이다.

판교 테크노밸리 문제점을 개선하려는 것도 주목된다. 이 곳은 기업 직원과 주민에게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은 환경이었다. 사무실만 많고 주거나 문화, 교육 시설이 절대적으로 부족했다. 이를 감안해 정부는 제2 테크노밸리에 오피스텔, 레지던스과 같이 젊은층이 선호하는 주거시설을 공급할 계획이다. 개방형 공원도 조성해 매력적인 정주공간을 실현할 계획이다. 창조경제밸리가 활성화하려면 이처럼 살만한 공간이 돼야 한다.

판교, 구로처럼 도심과 가까운 곳은 조금 부족해도 기업들이 몰리지만 수도권을 벗어난 지역 클러스터는 더욱 매력적인 정주공간을 만들어야 한다. 기업과 직원, 주민 의견을 수렴해 자족 공간을 만들어야 창조경제밸리도 활성화할 수 있다는 점을 잊어선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