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이 전부가 돼버린 나라에 우리는 살고 있다.
청춘의 황금기라며 누구나 부러워했던 대학은 학문의 상아탑이 아니라 취업전선의 충혼탑이 된지 오래다.
정부는 온갖 지표를 동원해 청년 취업이 늘고 있다고 주창하지만, 대학현장에서 느끼는 취업경기는 얼어 붙을대로 얼어붙었다. 기업들은 올해 하반기 경영기조 마저 불확실하다며 정확한 채용규모 조차 확정치 못하고 있다. 희망찬 사회생활의 첫발을 추억하며 베이비부머 마지막 시절을 보낸 7080세대는 당시 유행가로 위안받으며 “복고풍이 대세”라는 푸념만 연발한다.
세간의 화제를 모은 영화 ‘국제시장’도 사실, 이념적 충돌의 문제이기 보다 아버지 세대(할아버지) 때와는 완전히 다른 전쟁을 겪고 있는 지금의 청년들이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수고’를 인정 못하겠다는 데서 오는 현실적 괴리 때문이다.
지금 정부는 취업의 문제를 전 연령층에 걸친 일자리 문제로 희석시키기 바쁘다. 초고령화시대에 대비한 노후세대를 위한 일자리, 장년층 전문직의 취업 지속 등에 더 큰 신경을 쓰고 있는 것처럼 비춰지기도 한다. 물론 이들의 문제도 사회복지, 국가 재정위기 완화를 위한 중요한 이슈임에 분명하다.
하지만, 이 시대 취업 문제의 핵심은 국가 사회·경제시스템을 움직이는 청년의 취업이 줄고있다는 사실이며 앞으로 20~30년은 이를 동력으로 움직여야할 우리 경제시스템이 돌고 있지 못한 문제로 집중해서 봐야 한다.
이를 조금이라도 ‘해갈’시키기 위해선 정부 부처별로 정교한 정책 수립과 집행이 우선 요구된다.
박근혜 정부는 창조경제와 취업 등 당면한 경제·사회·복지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카드로 정부3.0 슬로건을 내세웠다. 정부가 가진 데이터와 정책 기법 등을 개방해 연계활용도를 극대화하겠다는 전략으로 요약된다.
하지만 실제로 청년 취업 및 일자리 관련 교육·인력 양성을 지원하는 주무부처인 고용노동부와 피고용자의 의료보험을 담당하는 보건복지부와 정부 정책 관련 통계를 총괄하는 통계청의 데이터마저 공유되지 못한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이렇게 정부가 혼선을 빚고, 대학은 우왕좌왕하는 사이 사실상 최고 스펙의 청년들은 자신의 무능을 먼저 배우고, 세상에 좌절한다.
시대를 막론하고 가정과 기업은 물론 국가의 융성은 품고 있는 사람의 역량이 얼마나 발휘됐는가와 등치된다. 사람의 역량은 흔히 얘기하듯 한참 배우고 일하고, 얻을 수 있는 20~30대가 최대치를 발휘하는 것이 만고의 진리다.
정부의 새해 투자 계획과 업무추진 방침이 잇따라 국민들 앞에 쏟아지고 있다. 뭔가 새로운 기대거리가 있나 해서 살펴보지만 온통 암울한 지표나 전망이 작은 기대조차 꺾어버리기 일쑤다.
접근법, 실행 방도 자체가 바뀌어야한다. 지금까지 나온 경제 활성화, 혁신경제, 통일 대비는 핵심 실행주체인 청년들이 움직일 때 ‘진짜로’ 가능해진다. ‘말의 성찬’만 늘어놓지 말고, 청년들을 어떻게 설득하고, 움직이게 해 결국 감동시킬 것인가만 고민해도 시간이 많지 않다.
청년들의 실망을 올 상반기 내 돌려놓지 못하면 임기 반환점 이후는 실망의 심화 밖에 없다.
이진호기자 jholee@etnews.com
-
이진호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