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폰과 자급제폰으로 통신요금의 12%를 할인받는 혜택을 12개월 약정 시에도 받을 수 있도록 제도가 개선됐지만 소비자 반응이 여전히 무덤덤하다.
통신사 판매장려금(리베이트)이 적어 판매점이 적극적인 권유를 하지 않는 점, 출시 15개월 이상 새 휴대폰이 2년 쓴 중고폰보다 훨씬 낫다는 소비자 심리 등 여러 요인이 활성화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20일 서울 영등포구와 구로구, 성동구, 광진구에 위치한 판매점 네 곳을 조사한 결과 매달 12% 요금할인을 받아 서비스에 가입하는 고객은 거의 없거나 손에 꼽을 정도로 적은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 15일부터 요금할인 약정 최소 기간이 24개월에서 12개월로 줄었지만 기존과 크게 달라진 게 없는 셈이다. 아직 정식으로 가입자 통계가 나오지 않았지만 전국적으로도 매우 미미한 수준일 것이라는 게 공통된 의견이다.
구로디지털단지 인근 한 판매점 사장은 “12개월로 약정 기간이 줄어든다고 언론에 홍보가 되면서 기존보다 문의를 하는 고객이 조금 늘어났다”며 “하지만 실제 가입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말했다. 중고폰을 다시 24개월 쓰는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약정 기간을 줄였지만 이외에도 아직 걸림돌이 남아 있다는 것이다.
일선 판매점은 소비자가 12% 요금할인 활용을 주저하는 가장 큰 이유로 중고 단말을 꺼리는 소비 심리를 꼽았다. 통상적으로 스마트폰은 2년 정도 사용하면 성능이 저하된다. 제품 성능이 빠르게 발전하고 통신사 간 속도 경쟁과 마케팅이 치열한 상황에서 중고폰을 오래 쓰기란 쉽지 않다는 것이다.
지난 연말부터 갤럭시노트3 등 출시 15개월 이상 단말 지원금이 대폭 상향되면서 ‘중고폰보다는 구형 새 단말’ 등으로 선택의 폭이 넓어진 것도 한 요인으로 꼽힌다. 일반적으로 중고폰 가격은 10만~20만원 사이지만 15개월 이상 단말은 요금제에 따라 비슷하거나 더 낮은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알려진 대로 12% 요금할인응로 고객을 유치하는 데 따른 통신사 판매장려금이 신규 번호이동이나 기기변경보다 낮은 것도 제도 활성화의 걸림돌이다. 12% 요금할인 고객 한 명당 판매점에는 3만원 정도의 장려금이 지급된다. 15만~20만원 사이인 신규 폰보다 낮아 판매점이 적극적으로 요금할인을 권유하지 않고 있다.
가입자당 평균수익(ARPU)을 중시하는 통신사에서 ARPU가 낮은 중고폰 고객을 유치하는데 장려금을 높이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무엇보다 갤럭시A 시리즈 등 중저가폰이 활성화되면 중고폰을 사용하려는 고객이 더 줄어들 것으로 우려된다. ‘불필요한 단말기 교체를 줄여 가계통신비를 인하한다’는 이 제도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는 고객 홍보보다 더 근본적인 대안이 필요하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소비자의 선택을 바꿀 수는 없어도 판매점과 통신사 차원에서 제도를 가로막는 일이 없도록 정책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며 “제도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다각적으로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
-
안호천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