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화상태에 이른 주파수 문제 해법으로 누구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정한 ‘비면허(Unlicensed) 대역’에서 롱텀에벌루션(LTE) 서비스를 제공하는 ‘LTE-U’ 기술 개발 열기가 뜨겁다.
글로벌 장비 제조사뿐만 아니라 국내 통신사들도 연구개발(R&D)에 착수하면서 상용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국제 표준화와 정부의 주파수 정책 가이드라인, 와이파이 진영과 조화 등은 해결 과제로 남았다.
8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국내 통신사들이 퀄컴, 화웨이, 에릭슨LG 등 칩·장비 제조사와 활발하게 LTE-U 연구를 진행 중이다. 초기 논의되던 2.4㎓ 대역보다 아직은 여유가 있는 5㎓ 대역이 LTE-U의 서비스 대역으로 꼽힌다.
LTE-U는 800㎒, 900㎒ 대역처럼 통신사가 경매를 통해 비용을 지불하고 사용하는 대역이 아닌 비면허 대역을 사용한다. 비면허 대역이기 때문에 비용을 지불하지 않는다. 국제 표준화 단체인 3GPP는 LTE-U를 릴리즈13(3GPP의 기술 규격 단계)의 연구·표준화 아이템으로 선정하고 올해부터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한다.
3GPP는 LTE-U 대역을 독립적인 LTE 서비스로 사용하기보다 기존 LTE 대역과 주파주집성(CA)으로 묶어 사용하는 쪽으로 표준화 방향을 잡고 있다. 비면허 대역에서 LTE를 독립적으로 서비스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기존 서비스의 보완재 성격으로 규정하면서 와이파이 등 다른 진영의 논란을 잠재우려는 정책적 의도로 풀이됐다.
이미 작년 3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에서 화웨이가 LTE-U 서비스가 가능한 장비를 선보였다. 이후 10월 LG유플러스는 5.8㎓ 와이파이 대역을 LTE로 활용, 기존 2.6㎓ LTE 주파수와 묶어 40㎒ 폭으로 속도를 높인 기술을 시연했다.
당시 LG유플러스는 “와이파이 주파수 대역을 LTE로 활용한 CA 기술은 이번이 최초”라며 “총 380㎒ 폭 와이파이 가용 주파수와 광대역 LTE-A를 묶으면 5G 기술로 일컬어지는 기가급 속도 실현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속도 증가 외에 부족한 주파수 확보, 와이파이 대역을 이용한 트래픽 분산 등 LTE-U가 가져올 혜택은 크다. 실외 지역은 3밴드 CA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실내에서는 펨토셀로 LTE-U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게 통신사들의 복안이다.
아직 넘어야 할 산은 많다. 우선 표준화가 완료돼야 관련 칩과 장비, 단말이 생산될 수 있다. 와이파이와 간섭 문제 해결을 위한 ‘LBT(Listen Before Talk)’ 같은 기술도 개발돼야 한다. LBT는 말 그대로 해당 대역에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다른 통신 전파가 없는지 확인하는 기술이다. 무엇보다 5㎓ 대역에서 정부의 명확한 주파수 정책과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한 통신사 관계자는 “미래부에서 관련 전문가들을 모아 논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안다”며 “정부의 명확한 입장이 정해지면 통신사의 서비스 개발이 본격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
-
안호천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