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6차 산업으로 진화한다

생산-가공-유통-판매 등 복합적 연계 새 부가가치 창출

최근 유기농 화장품이 각광을 받으면서 6차 산업이 신성장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다.

6차 산업은 1990년 일본의 도쿄대학 이마무라 나오미 교수에 제창된 말로 농업은 1차, 가공은 2차, 판매는 3차 산업으로서 `1×2×3=6`이라는 뜻이다. 즉, 농촌에 존재하는 모든 유무형의 자원을 바탕으로 농업과 식품, 특산품 제조·가공(2차산업) 및 유통 판매, 문화 체험 관광 서비스(3차산업) 등을 복합적으로 연계함으로써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을 말한다.



특히 이번 정부에서는 6차 산업을 강조하고 있으며 여러 가지 지원책도 강구하고 있다. 현 정부에서 6차 산업을 강조하는 이유는 가공 상품일수록 연계 산업을 거치면서 경기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판매가도 올라가기 때문이다.

한국농어촌공사 조석호 부장은 "6차 산업은 1차 중심형, 2차 중심형, 3차 중심형으로 나뉜다"며 "이는 다시 농가주도형과 법인주도형, 마을주도형, 지역단위주도형으로 구분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는 지자체와 협력해 생산과 유통, 가공까지를 하나의 벤더로 묶어 순환형 산업을 창조하는 것이 목표이다"고 덧붙였다.

출처 : 한국농어촌공사
출처 : 한국농어촌공사

6차 산업의 성공사례는 에덴식품 영농조합법인, 문경 오미자 산업단지, 양평 유기농 오디 산업단, 장흥 헛개산업육성사업단 등이 있다.

특히 화장품 관련 성공 사례도 많이 있다. 황기 명품화 사업은 제천에서 생산한 황기를 가지고 코씨드바이팜에서 화장품 소재로 개발한 화진 화장품에서 완제품 개발과 생산을 맡는 식으로 이뤄진다. 오가닉가든에서 생산하고 있는 석류 유기농 화장품도 이와 같은 단계를 거치고 있다.

6차 산업을 활용하면 1차 생산자는 안정적인 판매처를 확보할 수 있고, 3차 산업 종사자는 직거래를 통한 유통 마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무엇보다 마을단위의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브랜드 스토리를 만드는 데 유용하다.

조석호 부장은 "도매상을 거치는 경우, 원산지와 이력관리에 한계가 있어 산지 직거래가 확대되는 추세"라며 "유기농 원재료 사용으로 소비자의 제품 신뢰도가 향상되고 기업이윤도 상승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농가의 경우 수확량이 변동해도 기엄들이 계약한 가격이 유지되기 때문에 부담이 감소된다. 무엇보다 가공 상품이기 때문에 농산물의 모양이 좋지 않은 것도 납품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이준형 기자

cos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