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안전처가 공청회를 열고 국가재난안전통신망(이하 재난망) 사업 일정과 규모 등 세부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발주 방식을 비롯한 몇 가지 미결 과제가 남았지만 1조7000억원을 투자해 3년 일정으로 추진한다는 큰 그림과 대부분 실행 계획이 완성됐다.
정보전략계획(ISP) 과정 동안 불거졌던 여러 논란을 잠재우고 이제 본격적인 사업 착수를 앞두게 됐다. 3월 말 본공고가 나오고 이르면 5월 시범사업이 시작된다. 내년 본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벌써부터 기획재정부와 예산안을 논의한다는 얘기도 들린다.
3년 내 사업을 조속히 마무리하겠다는 정부의 의지는 칭찬할 만하다. 하지만 사업 성공을 위해서 잊지 말아야 할 게 있다. 바로 ‘답은 현장에 있다’는 진리다. 안전처는 기존 재난망 구축기획단을 100여명의 인력으로 구성된 사업추진단으로 개편한다.
사업추진단에는 통신 전문가뿐만 아니라 소방과 경찰, 군 등 재난기관 현장 인력이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 단순한 설문조사로는 실제 사용자 요구사항을 100% 반영하기 어렵다. 시범사업 때부터 이들의 의견을 철저히 반영해야 단말 형태 등 남은 과제를 논란 없이 해결할 수 있다.
재난망이 구축돼 안정화될 때까지 최소 2년 이상 낡은 장비를 사용해야 하는 기관 관계자들의 애로사항에도 귀를 기울여야 한다. 대전과 광주, 부산, 대구경찰청은 2002년 구축한 노후화 주파수공용통신(TRS) 장비를 14년째 쓰고 있다.
재난망 사업이 언제 추진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중복투자 문제로 불편을 감수해왔다. 노후화로 인해 장비 장애가 빈번하고 상황 대응력이 떨어진다는 게 이들의 호소다. 사업 완료 시까지 업그레이드 등 대안과 망 구축 후 기존망 활용 방안을 현장 사용자와 논의해야 한다.
모든 정보화 사업의 최대 목표는 사용자 편의성 향상이다. 대규모 프로젝트에 앞서 철저한 요구사항 파악이 진행되는 것도 때문이다. 국민 생명을 책임지는 재난망 사용자의 의견을 귀담아 들어야 하는 것은 두말할 나위 없는 일이다.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
-
안호천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