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전력수급 안정 차원에서 LNG 복합화력의 적정비율을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원전과 석탄화력 등 기저발전소 건설의 불확실성과 셰일가스 생산 확대, 온실가스 감축 등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복합화력의 역할이 필수적이라는 설명이다.
민간발전협회는 ‘복합화력 활성화 방안 연구용역’ 보고서를 통해 정부 전력정책에 LNG 복합화력 산업 유지를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용역은 최근 전력공급 과잉과 시장가격 하락으로 복합화력의 수익이 줄면서 이에 대한 정책대응 요구 차원에서 이뤄졌다. 특히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을 앞두고 전력당국에 민간발전사들의 목소리를 전달하기 위한 배경도 있다.
용역 보고서에서는 복합화력 경영악화와 함께 전원믹스 붕괴를 우려하고 있다. 원전과 석탄화력 등 저원가 발전소 중심의 설비계획이 복합화력의 설자리를 잃게 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윤원철 한양대 교수는 전력수요예측과 기저발전 건설계획, 신재생에너지 목표 모두 불확실성이 있다며, 향후 가스를 장기계약이 아닌 스팟시장에서 도입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여기에 복합화력 적정 비중을 지키지 못하면 셰일가스 확대에 따른 가스가격 하락의 이득도 얻지 못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셰일가스 도입에 따른 이익으로는 2020년 기준 국내 도입가스 총량 중 20%를 셰일가스로 충당할 경우 ㎾h당 4~5원의 전력 도매가격 하락을 예상했다.
김욱 부산대 교수는 온실가스 감축과 복합화력의 역할을 강조했다.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선 석탄화력 비중을 줄여야 하고 그만큼 복합화력의 대체 발전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김 교수는 2018년 배출권 유상할당 시기 이후부터는 복합화력의 환경적 가치가 급상승 하는 만큼 정부 차원에서 이를 보호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
-
조정형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