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v6 전환에 8787억원 필요···중소 ISP 전환 지원책 시급

국내 인터넷서비스제공업체(ISP) 차세대 인터넷주소(IPv6) 전환 비용이 무려 8787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됐다. 중소 ISP와 콘텐츠서비스제공업체(CSP)는 비용 문제로 전환 계획조차 세우지 못하고 있다. 사물인터넷(IoT) 등 차세대 서비스를 위해서는 바닥을 드러낸 IPv4 대신 IPv6로 빠른 전환이 시급한 만큼 지원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국내 주요 ISP와 CSP, 장비·소프트웨어 제조사 등 572곳과 인터넷사용자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4년 국내 IPv6 준비도 실태조사’ 결과를 15일 발표했다.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 KT, LG유플러스 등 대형 ISP 4곳과 중소 ISP 118곳 등을 중심으로 전수조사가 진행됐다.

망 제공 ISP는 2015년 이후 IPv6 전환에 8787억원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2013년 조사 때 1조2188억원에 비해 3401억원이 감소했다. 지난해 3401억원이 장비 전환에 투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8787억원 가운데 4대 ISP가 6403억원, 중소 ISP가 2384억원을 투자할 것으로 전망됐다.

IPv6 준비도는 전반적으로 2013년보다 상승했다. 준비도는 콘텐츠와 서비스만 있다면 언제든지 IPv6 사용이 가능한 상태를 말한다. 지난해 기준 국내 ISP 백본망(라우터, 스위치 등 네트워크 장비) 94.7%가 IPv6를 지원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2013년(92.1%) 대비 2.6%P 증가했다. 가입자망도 2013년 65.0%에서 68.9%로 3.9%P 상승했다.

KISA 관계자는 “기간망(백본)은 오래전부터 준비를 해서 준비도가 높은 상황이고 가입자망도 지난해 SK텔레콤과 다음카카오가 상용서비스를 개시하면서 준비도가 높아졌다”며 “이제 사물인터넷(IoT)을 위한 주요 고속도로가 대부분 깔렸으니 주변도로와 여기에 다닐 수 있는 콘텐츠, 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무제한 인터넷주로소로도 불리는 IPv6는 모든 사물에 1개의 인터넷 주소를 부여하는 IoT 시대에 대비한 필수 요소다. IPv4는 고갈이 머지않았고 이미 할당 제한 등 부족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IPv6 확산을 위해서는 대형 통신사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유기적 협력과 인식이 필요하다. 조사 결과 IPv6 전환 계획을 가진 중소 ISP와 CSP는 일부에 불과했다.

중소 ISP 72.0%, CSP의 85.1%가 IPv6 전환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IPv6 서비스 제공 시기에 대해 대형 ISP는 ‘향후 2년 이내(50%)’가 가장 많았다. 하지만 중소 ISP와 CSP는 ‘향후 5년 이상(이후)’이라는 응답이 각각 71.4%, 67.9%로 높게 나타났다. 기반 인프라 전환이 완료돼도 서비스와 콘텐츠가 없으면 IPv6 확산은 요원하다.

KISA 관계자는 “IPv6만으로 할 수 있는 서비스 모델을 발굴하고 모범사례가 나와야 확산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며 “미래부와 KISA는 ‘국산 IPv6 제품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컨설팅과 전문교육 등 다양한 지원책을 펼쳐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IPv4 주소가 부족하다고 느끼는 비중

자료:KISA

IPv6 전환 계획 비중

자료:KISA

IPv6 전환에 8787억원 필요···중소 ISP 전환 지원책 시급

IPv6 전환에 8787억원 필요···중소 ISP 전환 지원책 시급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