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스마트공장 진단에서 구축까지 폭넓게 지원

[이슈분석]스마트공장 진단에서 구축까지 폭넓게 지원

정부의 스마트공장 프로젝트는 보급·확산 중심으로 진행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스마트공장을 기업 수준에 맞춰 보급하기 위해 정보기술(IT) 활용정도 등에 따라 △기초(일부 공정 자동화) △중간1(IT 기반 생산관리) △중간2(IT·소프트웨어 기반 실시간 통합제어) △고도화(맞춤형 유연 생산) 4단계로 분류했다. 오는 2020년 목표치인 1만개 스마트공장 가운데 ‘중간1’ 등급이 가장 많을 것으로 내다봤다.

스마트공장 도입을 원하는 기업이 보급 사업에 신청하면 전문가가 직접 수준을 진단한다. IT서비스기업 출신을 비롯한 전문가 80여명이 코디네이터로서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도입을 돕는다.

보급 사업은 △대기업 협력사 △지역기업 △대기업 연계가 약한 개별공장 세 가지로 나뉘어 전개된다. 대기업 협력사 스마트공장 지원은 업종별 대기업이 주도해 가치사슬 내에 기획·설계·생산·유통·물류 협업시스템을 협력사에 구축하는 방식이다. 지역공장 스마트공장화는 전국적으로 구축 중인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중심으로 이뤄진다. 개별공장 스마트화는 자동화 수준이 낮은 뿌리기업이 중점 지원 대상이다. 사업 비용은 정부와 대기업이 절반, 나머지 절반은 해당 중소기업이 부담하는 형태다.

산업부는 스마트공장 확산 기반을 갖추려 인증·표준체계를 확립한다. 제조기업에 바람직한 스마트공장 모델을 제시한다. 기업 간 거래시 스마트공장 수준을 공신력 있는 잣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인증체계를 도입한다.

상반기 내에 스마트공장 추진을 총괄하는 ‘민관 합동 스마트공장 추진협의회’를 발족한다. 협의회는 지원정책협의회, 민관 R&D 협의회, 표준포럼 3개 분과로 구성된다.

스마트공장 도입에 관심있는 중소기업이라면 6월께 나올 산업혁신운동 스마트공장보급사업을 눈여겨볼만하다. 지난해 시범사업에 이어지는 것으로 동반성장기금을 활용한 사업이다. 대기업 협력사 지원은 물론이고 대기업과 연계되지 않은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함께 나온다. 아직 사업규모는 확정되지 않았지만 150개사가 참여했던 지난해에 비해 대폭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소기업에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정보를 통합 제공하는 헬프데스크도 이르면 4월부터 운영된다. 여러 부처와 분야에 흩어져 있는 스마트공장 정책을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는 창구다.

이규봉 산업부 스마트공장팀장은 “기업에 맞는 수준 진단과 기업 의사를 반영한 현실적인 정책을 펼칠 것”이라며 “협소한 개념에 머물지 않고 다양한 형태 스마트공장 모델을 제시하고 지원하겠다”고 설명했다.

이호준기자 newleve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