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전력회사가 원자력발전소 재가동을 위한 안전대책 확보에 신기술을 대거 도입한다.
일본은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발생한 후 원전 안전점검을 위해 모든 원전 가동을 중지했다. 사고 발생 4년 만인 올해, 센다이 원전이 처음으로 최종 평가 절차를 밟으며 오는 7월 재가동을 앞두고 있다. 정부는 다른 원전도 원자력규제위원회의 안전 및 사고대책마련 수준 평가를 거쳐 가동을 시작하겠다는 방침이다. 오는 2030년 전체 발전 전력량에서 원자력 발전이 차지하는 비율이 20%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 경제산업성은 전력 회사가 원전 재가동을 위한 규제위원회 기준을 충족할 뿐 아니라 자발적인 안전성 향상에 힘쓰길 요구하고 있다. 업체들은 빅데이터 분석이나 드론 등을 원전 안전 대책에 사용할 방침이다.
일본 추고쿠 전력은 수 천개의 센서를 활용해 원전 고장을 사전에 예측하는 빅데이터 분석에 나설 계획이다. 이 기술은 마쓰에시에 건설 중인 시마네 원전 3호기에 우선 적용된다. 원전 부지 내 설치된 센서로 진동과 압력변화를 측정해 평상시와 다른 데이터가 발견될 경우 조사·점검한다. 사전에 사고를 방지하고 설비수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마네 3호기는 향후 원자력 규제위원회의 안전심사 신청을 앞두고 있다. 빅데이터 분석 기술 활용은 심사 항목에 직접 명시돼 있지 않지만 안전 보장 체제를 갖췄다는 평가를 받을 가능성이 높다. 회사는 시마네 2호기에도 계측 설비를 도입할 방침이며 향후 다른 전력회사의 원전에도 적용될 전망이다.
추부 전력은 시즈오카현에 있는 하마오카 원전에 사고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오는 2016년까지 드론을 도입한다. 원전 사고 시 부지 주변의 방사선량을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게 만든다는 방침이다.
간사이 전력은 타카하마, 오이, 마하마 원전이 위치한 일본 후쿠이현 와카사만 주변에 레이더 설치를 검토 중이다. 항공기 등이 원전에 추락하는 경우를 막기 위해서다. 레이더로 비행정보를 수집하고 이상이 발생할 경우 대형사고로 이어지기 전 원전 가동을 정지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춘다는 계획이다.
한편, 원전 안전 규제의 강화로 일본 전력회사가 안전 대책에 투입한 추가 비용은 총 2조엔(약 18조원)가량으로 집계된다. 시장에서는 업계가 부담한 비용이 전기요금에 추가돼 소비자 부담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김창욱기자 monocl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