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시장이 스마트폰 제조사에게 ‘계륵’이 될 전망이다. 정부가 4세대 스마트폰부터 일명 ‘로컬 콘텐츠’ 규제를 확대 적용할 계획을 세웠기 때문이다.
인도네시아가 4G 스마트폰부터 자국 ‘로컬 콘텐츠(Local content)’ 규제를 확대할 방침이라고 로이터가 5일 전했다. 삼성·애플 등 모든 스마트폰 제조사는 인도네시아 ‘로컬 콘텐츠’ 규정을 따라야한다. 스마트폰 수입 업체는 인도네시아에 제조 시설을 두지 않을 경우 면허 한도에 따라 2016년이나 2017년께 수입 면허가 취소된다. 규제안은 오는 6월 완성된 후 2017년부터 시행된다.
로컬 콘텐츠 규정은 인도네시아를 소비 중심에서 생산 중심 시장으로 바꾸겠다는 정책 일환이다. 제품 설계부터 연구개발(R&D), 지적재산권 사용료, 기기 제조 등 전자기기 제조 과정의 일정 비율 이상을 인도네시아 내부에서 해결해야한다는 게 골자다.
로컬 콘텐츠 비율이 30% 이하일 경우 인도네시아에서 제품 판매가 금지되는 방안이 유력하다. 지금까지 업계에선 이 규정이 제조단가를 높일 것을 우려해 왔다.
현재 인도네시아에서 판매되는 대다수 스마트폰은 중국에서 생산된다. 지난해 스마트폰 제조업체 15곳이 인도네시아 산업자원부 제안을 받아들여 제품 생산을 시작하기 전까지 인도네시아에는 스마트폰 제조 업계 자체가 없었다. 국내 삼성전자가 자카르타 인근에 생산시설을 지어 포문을 열었다.
실제 지난해 현지 스마트폰 제조사 ‘폴리트론(Polytron)’은 이 규정을 만족시키기 위해 제조시설을 중국에서 자바(Java) 섬 중부 도시 쿠두스로 옮겼다. 이 회사는 4G 스마트폰을 내놓은 첫 현지 스마트폰 제조사다.
산토 카다루스만 폴리트론 대변인은 “정직하게 말해서 생산기지를 옮긴 건 순전히 정부 규제 탓”이라며 “중국은 전자기기 제조 공급망이 잘 조성돼 인도네시아 대비 절반 값으로 제품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인도네시아 정부가 자국 스마트폰 업체에 맞춰 로컬콘텐츠 비율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이다. 카다루스만 대변인은 “현재 우리 로컬 콘텐츠 비중은 35% 정도”라며 “만약 폴리트론이 로컬 콘텐츠 비중을 40%로 끌어올리면 정부가 요구하는 로컬 콘텐츠 비중 또한 40%로 올라갈 것”이라고 말했다.
루디안타라 인도네시아 통신정보기술부장관은 “로컬 콘텐츠 비율을 40%로 할지는 아직 확정하지 않은 상태”라며 “이달 중순 업체에 이 규제에 대한 초안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시장조사기관 카날리스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스마트폰 사용자는 전체 인구 2억5000만명 중 3분의 1에 못 미친다. 인도네시아 스마트폰 시장 규모는 오는 2018년 1억대를 넘어설 전망이다.
김주연기자 pillar@etnews.com